구매대행•해외직구 유행 및 수입관세 인하 수혜
[편집자] 이 기사는 06월 08일 오후 5시32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지연 기자] 36조원 규모의 중국 화장품 시장이 구매대행 및 해외직구의 힘으로 한국·일본·유럽·미국 등 해외 브랜드의 각축장이 되면서 상하이자화(上海家化 상해가화)와 같은 로컬 브랜드가 조연으로 밀려났다.
국가통계국 수치에 따르면 중국 화장품 시장은 2015년 기준 소매판매액이 2049억위안(약 36조원)에 달하는 거대한 시장이다. 하지만 스킨케어·색조 화장품·모발케어·샤워용품·구강용품 등 중국 화장품 시장의 대부분(87%)을 차지하는 분야를 해외 브랜드가 장악하는 모습이다.
한국의 경우 2015년 화장품 무역흑자가 전년보다 99.4% 증가한 15억10만달러(1조6973억원)를 기록했는데, 이중 대(對)중국 수출액이 거의 절반에 달했다. 현재 한국은 프랑스 다음으로 큰 중국의 2대 화장품 수입국이다. 한국 화장품은 향후 한류 드라마의 인기 등으로 중국에서 꾸준히 인기몰이를 할 것으로 업계 전문가는 내다봤다.
반면 중국 대표 화장품 기업 상하이자화(600315.SH)는 2015년 매출액 증가율이 5년래 처음으로 한 자릿수(9.58%)대로 후퇴했으며, 지난 1분기 매출액과 당기순이익은 1분기를 기준으로 10년만에 처음 동반 하락의 굴욕을 맛봤다.
상하이자화의 1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3.37% 감소한 15억4100만위안(약 2700억원), 당기순이익은 32.87% 감소한 1억2700만위안(약 223억원)을 기록했다.
주가 또한 올 들어 지난 3일까지 약 30% 가까이 추락했다. 이 기간 상하이종합지수의 하락폭은 17%도 채 되지 않았다.
재고량 증가, 판매채널 변화, 매출채권(거래처로부터 받아야 할 대금) 회수 악화 등은 상하이자화가 당면한 문제로, 2015년 말 기준 매출채권 규모가 전년보다 44% 폭증한 7억6200만위안을 기록했다.
류선(六神), 바이차오지(佰草集), 메이자징(美加凈), 가오푸(高夫) 등 여러 화장품·생활용품 브랜드를 거느린 ‘중국판 아모레퍼시픽’ 상하이자화의 추락은 중국 로컬 브랜드의 전반적인 처지를 여실히 드러낸다. 대다수 중국 로컬 화장품 업체들은 해외 브랜드에 치여 힘겹게 영업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다.
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중국 소재 백화점 상위 20개 화장품 브랜드 가운데 로컬 브랜드로는 오직 상하이자화의 바이차오지(Herborist)만이 8위에 올랐을 뿐, 나머지 19개 브랜드는 모두 한국·일본·유럽·미국 등 해외 브랜드로 나타났다.
이러한 해외 화장품 브랜드의 중국 시장 점유율 합계는 55%를 웃돈다. 물론 백화점은 전자상거래의 발달로 다소 위축되긴 했지만 여전히 중국에서 화장품이 유통되는 가장 주요한 채널이다. 게다가 온라인 판매량을 봐도 대세는 역시 해외 화장품 브랜드다.
특히 지난 2015년 6월 1일부로 중국 재정부가 수입 화장품의 관세를 5%에서 2%로 인하하면서 로레알, 에스티로더, 아모레퍼시픽 등 해외 화장품 업체가 줄줄이 중국 내 판매가를 낮춘 것이 해외 브랜드에 호재가 됐다. 일부 수입 화장품의 가격은 23%나 인하되기도 했다.
중국 화장품 시장 성장세 둔화 또한 로컬 브랜드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에 따르면 2013년 13.3%였던 중국 화장품 소매판매 증가율이 2014년과 2015년에 이르러서는 각각 10%, 8.8%를 나타내며 꾸준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화장품 업계 전문가는 국산 화장품 품질에 대한 불신 해소 및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 확보 등을 로컬 업체의 돌파구로 제시했지만, 단기적으로는 해외 브랜드의 아성을 무너뜨리기 어렵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이지연 기자 (del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