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크선사업부 매각해도 2조이상 부족...더 팔 것도 없어
범현대가 지원으로 증자하는 방안 거론
[편집자] 이 기사는 1월 28일 오후 1시56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이영기 기자] 금융당국이 지난해말 현대상선에 정부 지원의 전제로 부채비율을 400% 이하로 낮출 것을 내걸었다. 하지만 현재 현대상선 상태로는 이를 맞추기가 요원한 것으로 드러났다.
5000억원 가량의 부채를 넘기는 방식의 벌크선사업부 분리 매각이 완료되더라도 부채비율은 700%를 넘는다. 부채비율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2조원 내외의 부채를 더 줄여야 한다.
그렇지만 현대상선이 추가 매각가능한 자산 규모는 2000억원에 불과해 다른 대안이 나와야한다. 이에 제3자 배정방식의 유상증자 시나리오가 나오기도한다.
![]() |
28일 투자은행(IB)와 채권단 등에 따르면 현대상선이 지난해 적자 등을 감안하면 정부가 지원조건으로 내건 부채비율 400%를 충족시키려면 자본증가 없이는 2조5000억원 이상의 부채를 축소해야 한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 현대상선의 총부채는 5조5706억원이다. 벌크선사업부를 처분해도 총부채는 5조706억원.
자본금 1조2676억원, 자본총계 7087억원을 고려하면 부채비율 400%를 맞추기 위해 부채를 2조2000억원 더 줄여야한다. 여기에 지난해 4분기에 발생한 손실까지 계산하면 2조5000억원 이상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현대상선은 앞서 벌크선사업부 매각을 진행중이라고 공시했다. 이는 6000억원 내외의 자산과 부채 5000억원 넘겨주고 현금 1000억원을 받는 구조로 알려져있다.
◆ 2.5조 부채 줄여야하나 팔 수 있는 건 2000억
현대상선은 현재로서 추가매각이 가능한 자산은 모두 2000억~3000억원 수준이라는 입장이다.
현대상선 고위관계자는 "LNG전용선사업부와 현대로지스틱스 매각 등 지난해까지 3조원 이상의 자구이행을 했다"면서 "이런 탓에 이번에 벌크선사업마저 처분하고 나면 모두 긁어도 2000억~3000억원 내외의 추가매각만 가능해 부채비율 400% 달성은 요원하다"고 설명했다.
IB업계도 향후 추가 자산매각은 거의 불가능하다고 보고있다. 팔 수 있는 자산은 컨테이너사업부의 코어(핵심)관련 자산이라 이를 팔면 인수합병(M&A)와 다름없다는 얘기다.
현대상선에 정통한 한 IB관계자는 "벌크선사업부 매각 이후 실물자산은 현대상선의 코어자산이기 때문에 추가처분은 자산매각이 아니라 M&A와 다름없다"고 말했다.
업황개선으로 수익성이 빠르게 개선되지 않는다면 보유자산 처분을 통해 재무구조개선은 한계에 왔고, 정부지원 조건인 부채비율 400%는 거의 불가능한 목표로 평가되는 것이다. 정부지원이란 장기간 침체에 빠진 대형 해운사들을 위해 12억 달러, 1조 4000억원 규모로 조성한다는 선박펀드를 말한다.
이에 IB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 현대중공업그룹, 현대그룹 등 범현대가의 공조 시나리오까지 그리며 여기에 기대를 거는 분위기다.
◆ 자본금 7000억 늘려야 부채비율 400%...범현대가 지원?
IB 관계자는 "부채비율 400% 충족을 목표로 한다면 범현대가에서 지원하는 등의 다른 방안이 강구되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자산매각을 통한 부채감축이 안된다면 자본금을 늘려야한다는 것. 현대상선의 현 재무구조에서 7000억원 가량을 증자한다면 부채비율 400%를 충족할 수 있다.
채권단의 한 관계자는 "매월 지불되는 용선료 중 400억~500억원 정도의 조정이 필요한 등 수익성 개선노력 여지가 남아있지만 이는 장기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라며 "부채비율 400%를 맞추기 위해서는 7000억원 내외의 증가가 가장 좋은 방안"이라고 말했다.
현재 현대상선 지배구조는 현대엘리베이터 등 현대그룹 22.49%, 현대중공업 10.78%, 현대건설 5.08%를 보유하고 있다. 현대건설의 대주주는 현대차그룹(지분 34.92%)이다. 범현대가의 공조모드만 만들어지면 현대상선이 살아날 수 있다.
한편, 올해 만기도래 현대상선의 회사채는 4월 2200억원, 7월 2992억원이다. 이 중에서 1회 연장이 가능한 신속인수제 관련 채권이 4월과 7월에 각각 1008억원과 592억원이다. 이를 제외한 실제 필요한 상환자금은 3600억원이다.
현대상선 고위관계자는 "지난해 확보한 5000억원 내외의 유동성 등으로 회사채 상환 등 적어도 상반기까지는 문제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이영기 기자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