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닝시즌, 패닉 빠진 시장에 독될까 약될까
[뉴욕=뉴스핌 서우석 기자] 새해 두 번째 주를 맞이하는 투자자들의 마음이 그 어느 때보다 심란하다.
지난주 미국의 강력한 고용지표가 발표됐지만 얼어붙은 투자심리를 녹이지 못했고, 4분기 기업실적 발표 시즌이 시작되지만 땅에 떨어진 투자자들의 신뢰도를 다시 회복시키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이기 때문.
뉴욕증권거래소[출처=신화/뉴시스] |
뉴욕증시는 새해 첫 5거래일 기준으로 최악의 낙폭을 기록했다. 주간기준으로 다우지수가 6.2%, S&P500지수는 6% 그리고 나스닥지수는 7.3% 각각 하락했다. 다우와 S&P500 지수의 주간 낙폭은 지난 2011년 9월 이후 최대폭이었다.
지난주의 급격한 매도세로 S&P500지수는 시가총액에서 1조달러가 넘는 금액이 증발했고, 다우와 나스닥 지수는 52주 고점에서 10% 이상 멀어지며 조정(correction) 영역에 진입했다.
문제의 진앙지는 중국이었다. 잇따른 취약한 경제지표와 인민은행의 위안화 평가절하에 중국 증시가 급락하며 글로벌 증시가 요동쳤고, 가뜩이나 원유 공급과잉에 시달리고 있는 국제유가의 추가 하락세도 부채질했다. 달러로 거래되는 원유시장에서 위안화의 가치 하락은 세계 최대 원유 수입국인 중국의 수요 감소 불안을 낳고 있다.
국제유가는 주간 10% 넘게 하락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외교 단절로 커진 중동지역의 지정학적 리스크는 일시적인 유가 반등을 이끌었지만, 석유수출기구(OPEC)의 원유 감산 협의가 실현될 가능성은 더욱 희박해졌다. 등돌린 양국이 공격적인 원유 생산에 나설 경우 공급과잉은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일각에서는 유가가 당장 이번 주에 배럴당 20달러대에 진입할 것이라는 예상마저 나오고 있다.
지난해 8월 위안화의 기습적인 평가절하가 몰고 온 글로벌 금융시장 쇼크가 또 한 차례 재연되고 있다는 불안이 커지고 있는 만큼 월가 투자자들은 이번 주에도 중국과 국제유가의 추이를 예의주시하며 추가 타격에 대비하는 모습이다. 중국 시장의 안정과 유가가 바닥을 찾기 전까지는 현재 만연한 위험자산 회피 성향이 가라앉기 힘들며, 증시의 반등 또한 어려울 것이라는 진단이다.
투자자들의 초점은 중국 당국이 시장을 진정시킬만한 추가 조치에 나설 것인지 여부에 모여지고 있다. 지난 8일(이하 뉴욕시간) 중국의 증권관리당국은 증시의 혼란을 가중시킨 서킷브레이커(주식 거래 일시중지 제도)를 시행 1주일도 안돼 잠정 중단했고, 인민은행은 9일 만에 처음으로 위안화 평가절상에 나섰다. 이 같은 다급한 조치에 증시가 다소 안정을 찾긴 했지만 오락가락한 정책과 뒤늦은 어설픈 대응은 오히려 장내 불신과 공포를 키우고 있다는 지적이다.
일시적인 절상 고시에도 불구하고 위안화의 약세 기조가 유지될 것이라는 전망이 유력한 가운데 투자자들은 주말에 나온 중국 은행들의 12월 위안화 대출 데이터와 12일 밤에 공개될 중국의 12월 무역수지 등을 주목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펀더멘털보다는 중국시장의 안정 여부에 먼저 포커스가 집중되고 있지만 안방에서의 재료들도 긍정적이기 보다는 부정적인 촉매제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알루미늄 제조업체인 알코아(11일)를 시작으로 어닝시즌이 개막하지만 전망이 어둡다. 톰슨 로이터에 따르면 S&P500 대기업들의 순익은 지난해 같은 분기보다 평균 4.2%, 매출은 3.2% 각각 감소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에너지 기업 순익은 68%나 급감했을 것으로 추산됐다.
그나마 전문가들은 신흥시장 비중이 적은 비에너지(ex-energy) 기업들의 실적이 긍정적일 수 있다는 데 일부 기대를 걸고 있다. 14일에는 인텔과 JP모건 체이스가, 15일에는 씨티그룹과 웰스파고가 실적을 발표한다.
이번 주 미국의 핵심 경제지표는 12월 소매판매다. 앞서 11월에 0.2% 증가했던 소매판매는 지난달에는 0.1% 감소세로 돌아섰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전망치대로라면 유가 하락이 연말 소비 경기의 활성화를 이끌지 못했다는 얘기다. 이외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와 산업생산, 1월 미시간대 소비자심리지수(잠정치) 등 주요 지표들이 15일에 집중돼 있다.
연방준비제도 관계자의 연설도 매일 이어진다. 시장은 정책결정자의 입을 통해 올해 추가 금리인상 속도에 대한 단서 포착에 나선다. 연준은 올해 4차례 금리인상을 전망하고 있지만 이코노미스트들은 2~3차례만 기대하고 있다. 현재 3월 금리인상이 유력하지만 미국의 경기가 악화되거나, 중국 시장의 약세가 미국의 경제 성장을 위협할 정도가 되면 연기될 수도 있을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관측이다.
지난 8일 뉴욕증시는 미국의 견고한 고용지표에도 불구하고 후장들어 매도세가 강화되며 이번 주에 대한 경고신호를 보냈다. 금융분석회사 켄쇼(Kensho)에 따르면 지난주처럼 S&P500지수가 5거래일 동안 5% 이상 하락한 적은 지난 2004년말 이후 총 26회 있었고, 다음 5거래일 동안 반등한 경우는 65%에 달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S&P500 대기업들의 약 절반이 이미 약세장(52주 고점에서 20% 이상 하락)에 진입한 현실상 더이상 증시에 신규자금을 투입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며, 기술적 반등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에쿼티 아머 인베스트먼트의 투자자문 겸 옵션 전문가인 대니얼 데밍은 "옵션과 선물시장에서 투자자들은 이미 방어 포지션을 제대로 구축해놨다"면서 S&P500지수의 1880 지지선이 무너질 경우 증시의 하방 압력이 거세질 수 있다고 조언했다.
[뉴스핌 Newspim] 서우석 기자 (wooseok74@yaho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