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당국, 비공개원칙이 큰 사태 불러...방역체계 개편안 마련 시급
[뉴스핌=이진성 기자] 국내에서 발생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이 지난 25일 마지막 환자의 사망을 끝으로 사실상 종료됐다. 첫 메르스 창궐 이후 부실한 방역시스템이 여실히 드러나는 등 감염병 관리 시스템 전반을 다시 들여다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에 따르면 지난 25일 마지막 감염자인 80번째 확진자(남, 35세)가 기저질환인 악성림프종이 악하돼 숨을 거뒀다. 80번째 확진자는 마지막 메르스 완치판정자다. 하지만 완치 판정 이후 10일만에 다시 양성 판정을 받고 재입원해 치료를 받아왔다.
이로써 국내 메르스 확진자가 처음 발생한 지난 5월20일 이후 6개월여만에 단 한명도 남지 않게 됐다. 그럼에도 방역당국은 안심하지 못하는 상황이다. 초기 대응에 실패하는 등 개선해야 될 여지가 많이 남았기 때문이다.
<뉴스핌=김학선 사진기자> |
방역당국은 지난 5월20일 국내 메르스 환자가 처음 발생하자,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아도 감염될 확률이 극히 낮다고 강조했다. 진원지인 중동지역에서도 감염력이 낮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중동지역과는 다르게 확진자가 점차 증가하자, 첫 환자가 발생한지 11일만에 대책반을 구성했다.
대책반은 마스크착용과 손씻기 등이 메르스를 예방할 수 있다고 강조하면서 다만 3차 감염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박았다. 이 또한 전세계에서 메르스의 3차 감염이 보고되지 않았다는 사실이 근거가 됐다.
아울러 국민들이 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병원을 공개할 것을 요구했지만 비공개원칙을 고수했다. 이 모든 방침에는 우리나라와 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타 국가의 사례만을 염두해둔 것이다.
국민들의 우려는 현실화 됐다. 메르스가 발생한지 불과 18일만에 확진자가 87명으로 늘고, 3차감염이 의심되는 환자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다. 방역당국은 그때서야 병원명을 공개하기 시작했고, 병원내 감염 가능성을 언급하며 사실상 3차 감염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이같은 비공개원칙에 2차 진원지인 삼성서울병원에서만 87명의 환자가 감염됐다. 국내 전체 메르스 확진자가 186명인 점을 감안하면, 방역당국이 처음부터 투명하게 공개했다면 절반수준으로 줄일 수 있었던 셈이다.
당시 세계보건기구(WHO)도 감염병의 확산을 막기 위해 국민들에게 투명한 정보를 공개해야 된다고 강조했다. 안일한 대응이 화를 키운 셈이다.
▲ 메뉴얼로 화 키운 '방역당국… 메르스 교훈 삼아야
방역당국은 퇴원한 80번째 환자가 메르스 재발증세를 보이자 전염가능성이 없는 유전자 조각이 검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당시 질병관리본부 관계자는 "메르스 양성으로 판정됐지만, 조각이기 때문에 전염 가능성은 0%에 가깝다"며 국민들을 안심시켰다. 그러면서도 환자 격리는 유지했다.
이같은 조치는 마지막 확진자였던 80번째 환자의 가족들과 갈등을 야기했다. 감염가능성이 없다면서도 심각한 기저질환의 환자를 불필요하게 격리 시킴으로서 제대로된 치료를 받지 못해 사망했다는 것이다.
책임지지 못할 발표도 인해 논란만 야기한 셈이다. 사실상 질본은 겉으로는 감염가능성이 없다고 밝히면서도 속내는 다른 판단도 고려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질본 관계자는 "확실한 음성판정을 받기전까지는 감염병관리 메뉴얼상 격리조치할 수밖에 없다"며 "항암제 등 기저질환을 위한 치료는 이어졌다"고 해명했다.
냉정하게 보면 방역당국은 세계보건기구(WHO)가 권장하는 감염병 관리 규칙을 따른 것이다. 확실한 음성이 아닌 환자를 방치하기에는 무리가 따른 것으로 보여진다. 다만 차라리 처음부터 섣불리 감염가능성이 0%에 가깝다라는 언급을 하지 않았다면 벌어지지 않았을 논란이다. 원칙을 지키는 것은 좋았으나, 섣부른 발표가 빠져나갈 구멍을 덮은 것이다.
이번 메르스 사태에서 보여준 안일한 대처 능력은 방역당국이 풀어야할 숙제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올해가 가기전에 역학조사관을 충원하는 등 다시는 이러한 사태가 발생하지 없도록 방역체계개편안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뉴스핌 Newspim] 이진성 기자 (jin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