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투자 수요 미달, 영국-미국도 마찬가지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미국과 영국, 독일 등 선진국의 장기물 국채 발행이 난항을 겪고 있다.
독일이 총 6건의 2046년 만기 국채 발행에 나섰으나 사실상 실패했다. 투자 수요가 목표했던 발행액에 미치지 못했기 때문이다.
상황은 영국도 마찬가지다. 최근 실시한 30년물 국채 발행의 응찰율이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저치로 떨어졌다.
달러 및 유로[출처=블룸버그통신] |
정부가 국채를 발행할 때 일반적으로 투자은행(IB)들이 물량을 소화한 후 이를 연기금이나 보험사, 펀드 등 기관 투자자들에게 매각한다.
최근 들어 이른바 마켓 메이커로 불리는 IB들의 발행시장 참여가 점차 저조해지고 있다는 것이 업계 애널리스트의 지적이다.
사상 최저 수준의 금리가 지속되면서 장기물 국채의 투자 매력이 꺾인 데 따른 결과로 풀이된다. 여기에 은행권의 자본 규제 강화가 국채 수요 기반을 흔들고 있다는 설명이다.
모간 스탠리의 앤서니 오브라이언 전략가는 “투자은행이 국채 입찰에 응찰하기 위해서는 일정 부분 자본을 확보해야 하지만 대차대조표가 축소되는 상황에 정부가 쏟아내는 물량을 모두 소화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라고 말했다.
앞으로 IB 업계가 과거와 같이 대규모 국채 발행 물량을 사들이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그는 내다봤다.
금융위기 이후 주요국 감독당국의 은행권의 자본규제 강화 역시 은행권의 장기물 국채 매입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2019년 소위 바젤III가 온전하게 시행될 경우 상황은 더욱 악화될 것으로 보인다.
국채의 투자 매력 자체도 예전과 같지 않다는 주장이 힘을 얻고 있다. 장기간 지속될 제로금리 정책과 선진국 중앙은행의 자산 매입이 채권 수익률을 바닥권으로 떨어뜨렸고, 일부 선진국 국채 수익률은 마이너스 금리로 밀린 상황이다.
이달 통화정책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인상을 재차 보류하자 투자자들 사이에 긴축이 내년 1분기로 늦춰질 것이라는 전망이 번지고 있다.
연준이 금리인상을 단행하지 못할 것이라는 의견도 없지 않다. 세계 최대 채권펀드 업체 핌코가 이 같은 의견을 내놓은 데 이어 RBS 역시 이날 투자 보고서를 통해 “이제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사실상 닫혔다”고 주장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