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플랜트 수조원대 부실에 인도지연 따른 자금부담 '2중고'
[뉴스핌=황세준 기자] 국내 조선업계가 해외 선주사들의 해양플랜트 인도 연기로 자금압박에 시달리고 있다. 건조대금의 50% 이상을 인도 시점에 받는 해양플랜트를 발주사가 늦게 인수할수록 국내 조선업계의 자금부담이 커지고 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
2일 조선업계에 따르면 현대중공업은 노르웨이 선주사인 회그(Heogh LNG)사로부터 수주한 FSRU 1척을 건조 완료한 상태로 울산 조선소에 정박(계류)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FSRU는 해상에서 LNG선이 운반해 온 LNG를 액체 상태로 저장했다가 필요시 해저 또는 육상 파이프라인을 통해 공급하는 해양플랜트 설비다. 해당 선박의 수주액은 2억5000만달러(한화 약 2900억원)이다.
현대중공업은 해당 선박을 올해 상반기 중 인도할 예정이었으나 회그 LNG사가 인도 시점을 내년 4월로 약 1년 연기해 줄 것을 요청해 와 계류 중이라고 밝혔다.
또 해당 해양플랜트 건조에 소요된 인건비 등은 다른 배 인도 대금으로 일단 지급했다고 밝혔다. 1500억원 가량을 보유 자금으로 일단 당겨썼다는 것.
또 해당 해양플랜트 건조에 소요된 인건비 등은 다른 배 인도 대금으로 일단 지급했다고 밝혔다. 1500억원 가량을 보유 자금으로 일단 당겨썼다는 것.
현대중공업 관계자는 “당사의 설계 지연 등 잘못으로 계류된 게 아니고 발주처가 인도 연기해줄 것을 요청해 왔다"며 "선박을 계류하면서 소요되는 점검 인건비 등 추가 비용에 대해서는 협의를 완료했다”고 전했다.
이런 가운데 경쟁사인 삼성중공업도 영국 시추업체인 시드릴(Seadrill DRACO)사로부터 수주한 드릴십 2척 인도를 늦췄다. 해당 선박 수주규모는 1조1600억원이다.
삼성중공업은 드릴십을 11월말 건조 완료해 인도할 계획으로 현재 대부분의 작업을 마쳤으나 발주처가 인도 시점을 2017년 3월로 미뤘다고 밝혔다.
삼성중공업 관계자는 “건조가 끝나면 앵커링(계류)에 들어갈 계획”이라며 “추가 금액에 대해서는 협의를 진행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대우조선의 경우 밴티지드릴링으로부터 수주한 7000억원 규모 드릴십 1척 계약이 해지됐다. 계약 해지 원인은 지난해 말 납부돼야 할 2차 대금 지급이 지연됐기 때문이다.
해당 드릴십은 2016년 1분기 중 인도될 예정이었다. 대우조선은 배를 거의 다 지은 상태며 건조 완료 후 다른 선주사에 매각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조선업계는 유가 하락이 지속되면서 발주처들이 해양플랜트 설비 인수를 미루거나 대금 결제를 지연하고 있으며 이는 조선사 자금 흐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는 지적이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인도 연기로 조선사에 손해가 당장 발생하는 게 아니고 지연이자가 붙은 대금이 들어오면 나중에는 이득이라 발주처의 갑질이라고 보기에도 애매하지만 최근 해양플랜트 신규 수주가 어려운 상황에서 자금 회전에 부담이 발생한다는 점에서 이중고“라고 진단했다.
대우조선의 경우 올해 7월말 현재 해양플랜트 신규 수주가 없고 현대중공업은 전년 동기 대비 75.8% 감소한 9억7900만달러를 기록했다. 삼성중공업만 지난해 연간실적의 2배인 61억달러를 기록 중이다.
대신증권은 조선업계의 해양플랜트 실적에 대한 불확실성이 2011년~2013년 수주한 잔량이 모두 인도되거나 공정 진행율 80~90%는 돼야 해소될 것이라며 향후 1~2년 수주액은 잘해야 150억달러 수준이라고 예상했다.
다른 관계자는 “수년 전 해양플랜트 사용료가 하루 60만달러에 달할 정도로 치솟자 선주사들이 설비를 잇달아 발주했다가 최근 사용처를 찾지 못하자 인도를 연기하고 있다며 ”기회손실을 입느니 차라리 지연금을 내는 게 이득이라고 판단하는 것 같다“고 분석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지난 2009년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다”며 2007~2008년 당시 벌크선 및 유조선 가격이 오를 때 발주를 했다가 리먼사태 터지고 나서 연기요청이 쇄도했었다“고 전했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