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차이나모닝브리핑] 개인 신용정보사업 민간에 문호개방 (종합)

기사입력 : 2015년01월06일 10:48

최종수정 : 2015년01월06일 11:18

상해가화 제약회사 지분투자로 60배 투자수익

[뉴스핌=중국본부]  

 ◆ 개인 신용정보사업 민간기업에 전격 개방

중국 정부가 개인신용정보업을 민간에 개방하기로 하고 준비작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인민은행은 5일 오후 인터넷 홈페이지에 '개인신용정보 업무를 위한 준비작업에 관한 통지문'을 발표하고, 즈마신용관리공사(芝麻信用管理公司)·텅쉰신용정보공사(騰訊征信有限公司) 등 8개 민간 신용정보업체에게 관련 서비스를 위한 준비작업에 착수할 것을 지시했다. 인민은행이 준비기간으로 제시한 기한은 6개월이다.

이번 통지는 중국 정부가 개인신용정보 서비스를 민간 기업에 개방하기 위한 사전 준비작업으로 풀이된다. 6개월 간의 준비기간 후 심사를 통해 정식으로 개인신용정보 업무 서비스 허가증을 부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중국에서는 정부 기관인 인민은행 신용정보센터(央行征信中心)와 산하 자회사인 상하이쯔신공사(上海資信公司)가 기업과 개인신용정보 서비스를 전담하고 있다.

2014년 10월 말 기준, 이 두 기관이 보유한 신용정보는 기업정보 1963만 건, 개인정보는 8억 5000만 건에 달한다. 2014년 1~10월 기업과 개인의 신용정보 시스템 조회건수는 각각 8398만건과 3억 2700만 건을 기록했다.

인민은행 관계자는 "민간 신용정보 기업을 육성해 건전한 신용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정부의 정책 방향"이라며 앞으로 신용정보 시장 개방에 속도를 낼 것임을 시사했다.

인민은행이 이번에 지정한 8개 신용관리회사는 알리바바 그룹 계열사인 즈마신용관리공사, 텐센트 그룹 계열인 텅쉰신용정보공사(騰訊征信有限公司)와 선전첸아이신용관리센터(深圳前海征信中心), 펑위안신용관리공사(鵬遠征信公司),중청신신용관리공사(中誠信征信公司),중즈청신용관리공사(中智誠征信公司),라카라신용관리공사(拉卡拉信用管理公司), 베이징화다오신용관리공사(北京華道征信公司)다.

 ◆ 상해가화, 텐장약업지분 매각 투자수익 60배  

중국 화장품 제조업체 상하이자화(上海家化, 600315.SH)가 보유하고 있던 장인톈잔약업유한회사(江陰天江約業有限公司, 톈장약업) 지분 매각을 앞두고 있으며 이를 통해 60배 가까운 투자수익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

제일재경일보(第一財經日報) 등 보도에 따르면, 상하이자화는 최근 고시를 통해 자사가 보유 중인 톈장약업 23.84%의 지분을 중국중약유한회사(中國中約有限公司, 중국중약, 00570.HK)에 매각할 예정이며, 이로써 16억-18억 위안의 순익과 22억-24억 위안의 투자수익을 올릴 것이라고 밝혔다.

상하이자화가 톈장의약의 지분 매입을 위해 지불한 금액이 4000만 위안에 못 미쳤던 것을 고려하면 이번 지분 매매로 약 60배의 투자수익을 올리는 셈이라고 이 매체는 전했다.

이에 관해 상하이자화 측은 톈장약업이 속한 업계가 자사의 메인 업무가 아니며, 메인업무를 강화하기 위해 이번 지분 매각을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상하이자화의 2014년 3분기 순익 규모는 7억7400만 위안에 그쳤으며, 이번 지분 매각을 통해 얻은 일회성 투자수익이 상하이자화 전채 수익의 절반 가량을 차지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그러나 아직 거래 양측간의 내부 조율 및 외부 허가 등의 수속이 남아 있어 이번 지분 매매로 얻은 투자수익은 2015년 재무보고서에 포함될 것이며 상하이자화의 올해 실적 증가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한편,  중국 국내 청정석탄산업의 개척자로 불리는 커다제넝(科達潔能, 600499.SH) 역시 중국중약에 톈장의약 9.67%의 지분을 매각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 반부패서슬에 폭락했던 구이저우마오타이 200위안대 회복

그래픽: 송유미 기자.[출처=텐센트재경(騰訊財經)]
중국 본토 A증시 최고가 주식 구이저우마오타이(貴州茅台·귀주모태 600519.SH) 주가가 5일 200위안(약 3만5600원)대를 회복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가 3300선을 돌파하며 5년 5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중국 바이주(고량주) 대표 주식인 구이저우마오타이 주가도 6.8% 폭등한 202.52위안으로 상승 마감해 눈길을 끌었다.

지난 2012년 구이저우마오타이 주가가 200위안을 돌파한 후, 2013년 시진핑(習近平) 정부의 강도높은 부패척결 움직임에 주가가 내리막길을 걸으며 2014년 초 100위안 초반대로 떨어졌다가, 2014년 한 해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교차거래) 시행과 중국 증시 상승세 속에 주가가 80% 넘게 반등했다.

봉황망(鳳凰網) 등 중국 매체는 국유기업인 구이저우마오타이 그룹의 혼합소유제(민간자본 도입) 개혁 방안이 확정됐다는 소식에 주가가 급등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구이저우마오타이 그룹의 혼합소유제 방안에는 리파이넌스(재융자), 자회사의 전략 투자자 유치,임직원 지분 소유와 관련한 내용 등이 포함되는 것으로 전해진다.

당일 우량예(五糧液 000858.SZ) 주가도 10% 폭등한 23.65위안 기록, 양허구펀(洋河股份 002304.SZ) 주가도 10% 급등하며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A증시 바이주 종목이 일제히 올랐다.

평안(平安)증권은 바이주 업계 상품 구조전환 따라 실적이 개선되면서 작년 11월 순이익이 크게 올랐다며 주가 상승 배경을 설명했다.

중국 당국의 강력한 반부패 개혁에 고급 바이주 업계가 크게 위축됐지만, 흥업(興業), 초상(招商),중신(中信), UBS 등 5개 증권사는 2015년 유망주 중 하나로 구이저우마오타이를 꼽았다.

중신증권은 식음료 업계가 장기적으로 성장성이 유망할 것으로 판단되는 데다, 후강퉁 시행에 따라 A증시 희소주인 구이저우마오타이 주가가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분석했다.

 ◆ 리커창 총리 한마디에 선강퉁 테마주 일제히 급등

리커창(李克強) 중국 총리의 선강퉁(선전-홍콩 증시 교차거래) 지지발언에 5일 중국 A증시에서 선강퉁 테마주가 일제히 상승해 눈길을 끌었다.

중국증권망(中國證券網)은 이날 선전을 방문한 리 총리가 '후강퉁(상하이-홍콩증시 교차거래)이후에는 선강퉁이 있다'며 선강퉁 시행의 당위성을 피력함에 따라 선전과 홍콩 증시에 동시 상장한 A+H 종목이 강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그 중에서 웨이차이파워(濰柴動力·유시동력, 000338.SZ)가 6.93% 급등한 29.18위안으로 상승 마감했고, 완커A(萬科A·만과A, 000002.SZ) 주가도 7.27% 폭등했으며, 안강구펀(鞍鋼股份·안강스틸, 000898.SZ)도 5.37% 급등했다.

지난 2014년 11월 17일 출범한 후강퉁(상하이-홍콩 증시 교차거래)이 순조롭게 운영되면서, 올해 선강퉁이 시행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한 가운데, 리 총리의 이같은 발언은 선강퉁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에 불을 지피고 있다.

중국 평안(平安)증권은 선강퉁이 2015년 4분기에 출범할 것으로 전망했다.

전문가들은 선전과 홍콩 양 시장에서 주가 차이가 큰 종목에서 투자기회를 포착할 것을 조언했다. 선전과 홍콩 증시에 동시 상장한 종목은 웨이차이파워, 완커A, 안강구펀을 비롯해 17개 종목이 있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고병원성 AI 발생 30회 돌파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설 명절 직후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가 3건 연이어 발생하면서 방역당국이 긴장모드에 돌입했다. 현재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AI 발생 사례는 총 32번이다. 고병원성 AI 중앙사고수습본부는 2일 관계기관·지자체 등이 참여하는 중수본 회의를 개최하고, 고병원성 AI 발생 위험이 큰 이달 집중 방역관리를 시행하기로 했다. 먼저 중수본은 이달 한 달간 '산란계 및 오리농장 집중 방역관리 대책'을 추진한다. 31일 충남 논산시청 가축방역상황실과 논산시 관내 거점소독시설, 식용란선별포장업체를 찾아 방역현장을 점검하고 있는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사진=농림축산식품부] 2025.01.31 plum@newspim.com 고병원성 AI 발생 위험 27개 시군을 지정해 관계기관 합동으로 방역 추진 상황 특별점검을 실시하고, 집중 소독 주간을 지정해 산란계와 오리농장에 대한 소독을 강화한다. 산란계 특별관리 위험 19개 시군을 지정해 해당 지역 내 모든 산란계 농장(418호)에 대해 지자체에서 일제 검사도 시행한다. 이어 오리 특별관리 위험 9개 시군을 지정 해당 지역 내 과거 발생농장(63호)에 대해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특별점검을 추진한다. 방역당국은 최근 고병원성 AI 발생에 따라 전북도 전체 오리농장과 발생 오리계열사에 대해 일제 검사를 시행하고 있다. 중수본은 발생 오리계열사와 계약한 전국의 오리농장에 대해 특별 점검도 추진 중이다.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인한 계란 및 축산물 수급관리도 실시한다. 고병원성 AI 긴급방역 모습. [사진= 뉴스핌 DB] 농식품부에 따르면 현재 고병원성 AI 발생으로 육용오리와 종오리 누적 살처분 마릿수 비중은 전체 육용오리와 종오리 사육 마릿수의 각각 6.0%, 2.5% 수준이다. 이에 따라 오리고기 냉동 재고물량(350만마리)과 소비감소 등으로 수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한다. 최정록 농식품부 방역정책국장은 "가금 계열사는 계약 사육 농장에 대해 자체 방역 점검을 하고, 농축협과 축산농가는 농장 내외부와 진입로 등을 꼼꼼하게 소독해달라"고 당부했다. plum@newspim.com 2025-02-02 20:50
사진
美 트럼프, 관세전쟁 첫 포문 [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10% 관세를 부과하며 관세전쟁(tarrif war)의 첫 포문을 열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2월1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관세명령에 서명했다. 발효 시점은 오는 2월4일 0시1분으로, 실제 적용까지는 이틀의 시간이 남았다. 4개 당사국(미국 캐나다 멕시코 중국)이 이틀 간의 협상 기회를 살릴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명령은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이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관세 등으로 맞대응할 경우 미국 정부가 관세율을 인상할 수 있는 보복 조항을 포함하고 있다. 앞서 캐나다 등은 트럼프의 관세 위협에 보복조치로 응수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는데, 이를 실행에 옮길 경우 트럼프 행정부는 더 묵직한 보복 관세(25%를 넘는 관세율)로 응징에 나설 수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현지시간 2월1일 캐나다와 멕시코, 중국에 예고했던 관세부과를 명령했다 [사진=블룸버그] ◆ 관세부과 대상 7년전의 4배 육박 캐나다산 석유 등 에너지 수입 품목에는 예고한 대로 10% 관세만 부과된다. 백악관 관리들은 블룸버그에 "이는 미국내 가솔린과 난방유 가격의 상승 압력을 최소화하기 위한 예외 조치"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현지시간 2월1일) 자산의 트루스소셜 계정에 "불법 이주민, 그리고 펜타닐을 비롯해 우리 시민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치명적인 약물이라는 주요 위협 때문에 국제경제긴급권한법(IEEPA, 일종의 비상 경제 권한)을 발동해 관세를 부과했다"고 밝혔다. 트럼프는 "우리는 미국인을 보호해야 하며 모두의 안전을 지키는 것은 대통령으로서 나의 책무"라고 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미국이 수입한 캐나다산 재화는 4186억달러에 달한다. 이 가운데 약 1060억달러어치는 캐나다산 원유와 천연가스, 전기 등 에너지 관련 품목이다. 같은 해 미국이 멕시코에서 수입한 재화는 4752억달러를 기록했다. 여기에다 중국으로부터 수입하는 제품까지 보태면 이번 조치로 영향을 받는 수입품은 (2023년기준) 1조3000억달러에 이른다. 트럼프 1기 행정부가 2018~2019년 중국산 수입품에 4차례 관세를 부과했을 당시 적용 대상이었던 수입품은 약 3600억달러어치였다. 이번 조치로 영향을 받는 수입품은 금액기준으로 7년전의 4배에 육박한다. ◆ 높은 협상 문턱? 앞서 지난해 대통령 선거 과정에서, 그리고 대통령에 당선된 이후로도 트럼프는 "캐나다와 멕시코의 허술한 국경 경비 탓에 불법 이민자와 카르텔(범죄조직), 마약이 미국으로 유입돼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있으며 불법 펜타닐 문제에 있어서는 중국이 그 온상"이라고 지적하며 "이들 나라가 문제를 바로잡지 않으면 관세를 물릴 것"이라고 거듭 공언해 왔다. 비경제적 목적, 즉 정치·사회적 목적으로 두 동맹국에 단행된 이날의 관세조치는 목표한 바가 이뤄질 때까지 유지된다. 캐나다와 멕시코는 미국과 다자무역협정, 즉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맺고 있다. 트럼프 정부의 고위 관계자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미국으로 유입되던 불법적인 펜타닐이 제거됐다고 확신이 설 때까지 관세가 부과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관세 조치의 실제 발효까지는 이틀의 말미가 남았다. 앞서 콜롬비아 정부는 미국내 불법 체류자 인수를 거부했다가 트럼프 행정부로부터 25%의 관세 폭탄을 맞은 뒤 9시간 만에 백기를 들었다. 백악관도 불법 이민자 추방조건을 콜롬비아가 수용하자 관세 등의 제재 조치를 유보하기로 했다. 그런만큼 캐나다와 멕시코 등에 대한 이번 관세조치 역시 협상의 여지는 열려 있다. 일종의 '선(先) 관세 선포-후(後) 협상'의 수순인데, 다만 미국 고위 관리들의 발언을 전한 외신들에서는 협상의 문턱이 제법 높아 보인다는 관측이 뒤따랐다. WSJ는 미 정부 고위 관계자를 인용, 캐나다 및 멕시코와 협상은 계속될 것이라면서도 관세 인하의 기준이 높게 설정된 것 같다고 전했다. 이 고위 관계자는 "진전의 최고 척도는 미국인들이 불법 펜타닐로 사망하는 사건이 멈추고 미국 국경에서의 (불법) 이주와 광범위한 범죄 활동이 '극적으로 감소'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 멕시코, 보복 예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조치에 캐나다와 멕시코는 즉각 맞대응을 예고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쥐스탱 트뤼도 캐나다 총리는 1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 글을 올려 "미국이 4일부터 대부분의 캐나다 제품에 25%, 에너지에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확정했다"며 "이런 것을 원하지는 않았지만, 캐나다는 준비돼 있다"고 밝혔다. 캐나다의 더그 포트 온타리오주 주지사는 "이제 캐나다는 반격하고, 더 강하게 반격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밝혔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멕시코산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자, 미국산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다. 셰인바움 대통령은 엑스(X·옛 트위터)에 올린 글에서 "경제부 장관에게 멕시코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관세 및 비관세 조치를 포함, 플랜B를 시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발표했다. ◆ 미국 내부에서도 불만..."자동차·정유·전자상거래 등 타격 불가피" 트럼프의 이번 관세 부과조치는 그간 면세 혜택을 받던 캐나다산 소액 수입품에도 적용된다. 이는 800달러 미만의 소액 캐나다산 수입품이 통관 과정에서 적절한 검사를 받지 않고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WSJ는 이러한 최저한 면세(de minimis exemption)조항이 사실상 제거됨에 따라 이번 조치는 실질적으로 매우 강력한 힘을 발휘하게 된다는 업계 관계자들의 반응을 전했다. 더구나 블룸버그는 이번 명령은 캐나다뿐만 아니라 중국에서 미국으로 보내는 소형 소포에 대한 면세 축소를 포함하고 있는 만큼 잠재적으로 전자상거래와 온라인 쇼핑물 업계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했다. 다만 이번 조치의 적용 범위가 아직은 명확하지 않다고 했다. 미국 관리는 기자들에게 "미국은 이러한 면세(de minimis exemption) 조치로 막대한 관세 수입을 잃고 있다"고 말했다. 미국의 자동차 산업 공급망은 캐나다와 멕시코의 부품 및 조립 공장과 긴밀히 연계돼 있다. 그런만큼 이번 관세로 미국 자동차업계가 겪게될 충격도 상당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오토스 드라이브 아메리카(Autos Drive America)의 제니퍼 사파비안 대표는 이메일 성명에서 "관세 부과는 미국의 일자리와 투자, 그리고 소비자 모두에게 해로울 것"이라며 "미국의 자동차 제조사들에게는 장벽을 줄이고, 생산을 방해하는 규제를 완화하고, 더 큰 수출 기회를 창출하는 정책이 더 좋을 것"이라고 밝혔다. ◆ 자산시장 충격파 예고...스태그플레이션 그늘 미국 태평양 북서부와 북동부 지역은 캐나다산 천연가스와 전기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 캐나다산 에너지 품목은 관세율이 상대적으로 낮게(10%) 적용되지만 가계와 기업들의 비용 증가는 불가피하다. 정유업계도 마찬가지다. 당장 미국 내 원유 생산과 송유관 설비를 크게 늘릴 수 없는 상황에서는 그간 지리적 조건으로 캐나다산 원유에 의존했던 정유사들의 경우 정제 마진 압박을 겪게 된다. 캐나다산 원유에 10% 관세가 부과될 경우 원재료 비용 상승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비용을 판매가격에 전가하면 물가상승률이 꿈틀대게 된다. 예고했던 관세가 단행되면서 미국의 인플레이션이 다시 들썩일 위험, 그리고 이를 선반영해 미국의 시장금리(미국 국채 금리)와 달러가 덩달아 고도를 높일 가능성은 글로벌 자산시장을 흔들어 놓을 위험 변수다. 특히 캐나다와 멕시코 등의 경우 통화 가치 급락으로 자산시장이 한바탕 휘청댈 수 있다. 앞서 국제결제은행(BIS)은 관세를 장착한 달러 강세가 글로벌 경제에 스태그플레이션의 그늘을 짙게 드리울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 "관세 장착한 강달러, 글로벌 스태그플레이션 야기한다"   osy75@newspim.com 2025-02-02 12: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