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스크 헤지 나선 펀드 2월 13%에서 17%로 상승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글로벌 기관투자자들이 동유럽의 지정학적 리스크를 헤지하는 데 분주한 움직임이다.
헤지펀드를 중심으로 매크로 경제의 충격을 예상한 투자자들이 이른바 ‘꼬리 리스크’를 대비하는 데 잰걸음을 하고 있다.
(사진:AP/뉴시스) |
6일(현지시각) 크레디트 스위스에 따르면 글로벌 주식시장의 폭락에 대비하기 위한 헤지에 나선 펀드가 17%를 넘어섰다.
지난달 13%를 밑돌며 2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던 수치가 이달 들어 가파르게 상승했다는 얘기다.
크레디트 스위스의 존 킨델레러 애널리스트는 “우크라이나를 둘러싼 긴장감이 고조된 일을 계기로 주가 급락 리스크를 헤지하는 기관 투자자들이 늘어나고 있다"고 전했다.
헤지 비율이 지난 2012년 유로존 위기가 극에 달했을 당시와 지난해 키프로스가 디폴트 리스크를 맞았을 때에 비해서는 낮은 수준이지만 상승 추이가 가파르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의 얘기다.
또 헤지펀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투자 비중을 적극 낮추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헤지펀드 업계의 우크라이나 투자 규모가 비교적 크지 않지만 군사적인 충돌이 발생할 경우 리스크가 일파만파 퍼질 것이라는 우려가 투자가들 사이에 고조되고 있다는 것이 업계 전문가의 얘기다.
자산 규모 27억달러의 샬레망 캐피탈은 우크라이나의 투자 비중을 최소화했지만 여전히 경계감을 늦출 수 없다고 밝혔다.
샬레망 캐피탈은 투자 종목 가운데 러시아의 통신사인 모바일 텔레시스템스의 우크라이나 매출 비중이 약 10%에 이른다고 밝히고, 이를 다른 종목으로 교체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한편 미국과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사태를 풀어내기 위한 해법을 논의했지만 이렇다 할 결실 없이 진통을 겪고 있다.
이날 주요 외신에 따르면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러시아의 미국 자산을 동결하는 한편 우크라이나의 주권을 위협하는 행위에 연루된 이들의 미국 입국을 금지시키기로 했다.
백악관은 우크라이나의 주권과 영토권을 위협하는 러시아인에게 비자 발급을 제한하기로 하고, 관련 집행 명령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