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G2 위용, 중국 출신 국제기구 책임자급 간부 급증 <인민망 특약>

기사입력 : 2013년11월11일 16:22

최종수정 : 2013년11월11일 17:00


하오핑(郝平) 중국 교육부 부(副)부장이 이달 5일 제37회 유네스코 조직위원회 의장에  선출되어 2년의 임기를 수행하게 됐다.  하오 부부장은 역대 최초로 중국인이 의장으로 선출되었으며 최근 중국인들의 활발한 국제사회조직 진출의 큰 트렌드를 다시 확인해주는 계기가 됐다.

하오핑 부부장 이외에도 2013년 한해 다양한 국제조직의 주요직에 중국인들이 임명되었다. 6월에는 리융(李勇) 재정부 부(副)부장이 유엔공업개발기구(UNIDO) 사무총장직에 당선되었고, 8월에는 이샤오준(易小準) WTO 중국대사가 WTO 부(副) 사무총장에 임명되었으며, 9월에는 장샤오강(張曉剛) 안강(鞍鋼)기업 총경리가 국제표준화기구 의장으로 선출되었다.

중국인들이 국제기구의 주요직 책임자급 간부에 임명된 것은 지난 10여년전인 2001년 중국의 WTO가입 직후 부터 본격화된 일로 최근 경제 영향력이 커지면서 점점 더 많은 인사들이 국제기구에 진입하고 있다.

2003년에는 스주융(史久鏞)이 국제법원 원장으로 임명되면서, 1946년 법원 설립 이래 최초로 중국인이 원장직을 맡았다. 같은 해 12월에는 우젠민(吳建民)이 국제전시국 의장에 당선되었고, 2005년 10월에는 장신성(章新勝)이 유네스코 이사회 의장에 선출되었으며, 2006년에는 홍콩의 천펑푸전(陳馮富珍)가 세계보건기구 의장에 당선되었다. 

또  2007년 2월 9일에는 사쭈캉(沙祖康)이 유엔사무국 부(副)사무총장에 임명되었으며, 2008년에는 린이푸(林毅夫) 베이징대 교수가 세계은행의 부(副)행장 겸 수석 경제연구원에 임명되었고, 2010년 4월에는 탕첸베이(唐虔被)가 유네스코 교육부 사무총장보로 임명되었고, 2011년에는 주민(朱民)이 IMF 부총재로 임명되었다.

중국 전문가들은 중국이 개혁개방 이래로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세계적인 영향력이 커지면서  국제사회에서 점점 더 중국인의 참여를 필요로 하게 된 것이라고 분석했다.

상대적 숫자는 아직 부족해

중국 언론들은 중국의 경제력이 향상되고 국력이 강성해짐에 따라 중국인이 국제조직에 얼굴을 비치는 경우가 많아졌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현재 국제조직에서 중국인의 숫자는 아직 적다고 전했다.

인민일보는 유엔사무국 사무처에서 발표한 통계에 이를 뒷바침하는 사례가 잘 드러나있다고 보도했다. 2013년 6월 30일 기준으로 유엔사무국의 비언어 분야에 직무를 맡은 중국 국적 직원이 총 74명으로, 유엔사무국에서 제시한 적정 인원수 116명~157명에 못미침에 따라 유엔사무국 보고서에 ‘직원 분포도가 낮은’ 국가로 분류되었다.

10월 21일에 열린 제68차 유엔총회 제5위원회회의에서 유엔 상임대표단의 셰샤오우(謝小武) 공사급참사관은 이에 대해 우려를 표하면서, 사무처는 반드시 대표성과 균형을 갖춰  관련 결의안의 시행을 개선해야한다고 촉구했다.

“국제기구는 국제 정치 경제의 새로운 질서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핵심 역량이기 때문에 국제 조직 업무에 종사하는 직원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며 그 수가 많아져야한다”고 우젠민 의장은 말했다.    [인민망 특약]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