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화국제화 위한 '통화스왑' 용어 어려워 국민 이해 못해
[세종=뉴스핌 곽도흔 기자] 최근 우리나라가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 말레이시아 등과 각각 약 4조~10조원 규모의 통화스왑(currency swap) 계약을 체결하면서 통화스왑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통화스왑이라는 용어가 일반인들이 자주 쓰지 않는 전문 경제용어라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알기 어렵다는 지적이 나온다.
최근 사석에서 만난 현오석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도 "통화스왑을 쉽게 설명할 수 있는 말이 없는지 고민중"이라고 말했다.
정부가 대국민 홍보차원에서 통화스왑을 거론하려면 이를 쉽게 설명해야 하는데 용어 자체가 어렵다보니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통화스왑을 쉽게 설명하면 우리나라의 원화와 현지 통화를 맞바꿀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통상 기업이 교역을 할 때는 전 세계에 통용되는 달러로 결제하게 되는데 통화스왑을 맺은 나라와는 각각 원화와 현지 통화로 결제가 가능해지는 것이다.
통화스왑을 일부 언론에서는 스왑(교환)의 뜻을 살려 '통화맞교환'이라고 쉽게 풀어쓰고 있지만 이해가 어려운 것은 마찬가지다.
통화스왑이라는 용어 자체도 한글맞춤법에 따르면 통화스와프가 맞지만 정부 공식문서에는 통화스왑이라고 표기하고 있다.
최근 여러 나라들과 통화스왑 체결이 이어지면서 그 무게감이 줄었지만 통화스왑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300억달러 규모의 미국과의 통화스왑으로 우리나라의 외화유동성 위기의 급한 불을 끌 수 있었다.
우리나라가 각국과 통화스왑을 체결하는 궁극적인 목표는 원화국제화다. 수출로 먹고 사는 우리 기업들이 달러가 아닌 원화로 결제가 가능하다면 결제통화 부족을 걱정할 일도 없고 달러를 원화로 바꾸는데 따른 불필요한 비용도 아낄 수 있을 전망이다.
최근 현오석 부총리는 기재부에 정책협력실을 신설하고 최상목 경제정책국장을 임명해 대내외 소통과 협업체제를 강화했다. 통화스왑을 쉬운 용어로 바꾸는 작업도 대외 소통을 강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보인다.
[뉴스핌 Newspim] 곽도흔 기자 (sogoo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