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속보

더보기

中 폭염에 가전·전력 등 테마주 각광, 농업관련 업종 타격

기사입력 : 2013년08월14일 09:21

최종수정 : 2013년08월14일 16:34

[뉴스핌=조윤선 기자]  40도를 넘나드는 중국의 찜통 더위가 주민생활뿐만 아니라 산업 전반에 걸쳐 엄청난 영향을 미치고 있다.

13일 중국 인민망(人民網)은 기상학에서 정의한 35도 이상의 고온 현상이 항저우(杭州), 상하이(上海), 창사(長沙), 난징(南京), 충칭(重慶), 허페이(合肥) 등 중국 곳곳에서 지속되고 있다며 천연 사우나를 방불케하는 폭염이 일부 산업과 주식 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보도했다.

◇A주 증시 가전·전력·관광 등 테마주 각광

연일 40도에 육박하는 찜통 더위가 계속되면서 전력과 냉방기 수요 증가로 가전과 전력을 포함해 석탄, 관광 등 테마주가 각광을 받고 있다고 인민망은 전했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7월1일부터 8월6일 사이 화능국제(華能國際) 주가 상승폭이 14.50%, 국투전력(國投電力)은 13.02%에 달하는 등 전력 업체의 주가가 모두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고온현상으로 에어컨과 냉장고가 불티나게 팔리면서 거리(格力)전기, 메이더(美的)전기, 칭다오하이얼(青島海爾), 춘란구펀(春蘭股份) 등 가전 종목 주가가 대폭 올랐다.

이와 동시에 충칭맥주, 칭다오맥주, 싼취안(三全)식품, 이리(伊利) 등 일부 맥주 및 음료 업체와 타이지그룹(太極集團), 상하이자화(上海家化) 등 일부 더위 방지 약품과 물품을 생산하는 업체도 시장의 각광을 받고 있다고 중국 언론은 보도했다.

또한 더위를 피해 시원한 곳으로 관광을 떠나는 피서객들이 급증했다. 중국 관광연구원과 기상국 공공기상연구센터가 발표한 '2013년 중국도시 피서관광 발전보고서'에 따르면 잠재 피서관광객 규모가 최소 3억명으로, 피서 관광 소비 주기가 길고 빈도수가 높다는 특성을 감안하면 올해 피서시장 수요가 5000억~6000억 위안(약 91조~109조원)에 달할 전망이다.

하지만 7~8월 들어 연일 고온 현상이 지속된 항저우는 관광객이 발길이 뜸해졌다. 이에 일부 고온 지역의 비행기 티켓 가격이 사상최저가로 떨어지면서 관광객들이 몰리기도 했다. 현재 스자좡(石家莊)~항저우 노선의 특가 항공편 가격은 159위안(약 3만원, 공항건설비 및 민항발전기금 불포함)이다.

이밖에 연일 지속되는 찜통 더위로 각 도시의 수도 사용량도 크게 증가하면서 첸장수리(錢江水利)의 7일 주가가 4.5% 치솟는 등 관련 종목이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다.

연일 폭염이 지속되면서 중국 일부 지역이 극심한 가뭄에 시달리고 있다.[출처:신화사/뉴시스]
◇농작물 수확량 급감 등 일부 업종 타격

7월들어 중국 곳곳에서 지속되는 무더위는 일부 업종에 적지 않은 타격을 미치고 있다. 중국기상국의 기후연구전문가 리웨이징(李維京)은 "고온현상으로 인한 가뭄 탓에 국가 기간 산업인 농업이 큰 타격을 입고 있다"며 "최근 몇 일간 후난(湖南), 후베이(湖北) 등 상당수 지역이 극심한 가뭄으로 벼가 바싹 말라버렸다"고 말했다.

리 연구원은 "가뭄이 오랜기간 지속되면서 수자원이 급격히 줄어 주민들이 생활용수 이용에 불편함을 겪고 있다"며 "생활용수 뿐만 아니라 수자원과 관련된 수력발전 및 기타 업종도 적지않은 타격을 입고 있다"고 덧붙였다.

후베이성 당국에 따르면 8월 5일까지 후베이 북부지역, 중부지역 등지에서 이미 13개의 대형 댐과 1100개의 소형 저수지 수위가 최저 수위보다도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저수지 65개는 물이 말라 바닥을 드러냈으며 가뭄이 이미 후베이성 전체의 절반가량에 달하는 현(縣)과 시(市)로 확대됐다.

이와 함께 상하이를 비롯한 대다수 지역에서 전력 사용량이 사상최고치를 경신해 생활전력 확보에 중국 정부가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중국 언론은 전했다.

한편 중국기상국에 따르면 8월 6일 새벽 2시까지 후난성 창사의 고온 현상 발생 일수가 올해들어 총 46일로 중국 최고인 것으로 나타났다. 35도 이상의 고온 현상 지속 일수도 37일에 달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