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중국의 그림자금융이 미국 부동산 버블-붕괴를 초래한 것보다 더욱 커다란 리스크를 안고 있으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미국식 ‘머니-프린팅’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금융시스템 붕괴를 사전에 차단하기 위해서는 금융시장에서 유동성을 걷어낼 것이 아니라 오히려 미국식 구제금융을 시행하는 한편 부실 금융회사의 지분을 정부가 사들이고, 투자자들에게 투자자금 지급 보증을 제공해야 한다는 진단이다.
미국 투자매체 <포춘>은 중국 은행권의 과도한 레버리지가 최근 시장 불안을 초래했지만 홍콩부터 월가까지 투자자들이 정작 우려하는 것은 거대한 규모의 그림자금융이라고 강조했다.
그림자금융의 몸집이 거대할 뿐 아니라 정부의 통제력이 전혀 미치지 못하는 실정이며, 사회안전망이 거의 갖춰지지 않은 중국의 현실을 감안할 때 금융시스템의 붕괴로 인한 충격을 소화하기 어렵다는 얘기다.
최근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중국의 그림자금융 규모가 4조달러에 이르며, 국내총생산(GDP)의 60%에 달한다는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새롭게 출범한 중국 정부는 전 정권에서 태동한 통제 밖의 그림자금융을 뿌리 뽑는 데 목적을 두고 최근 유동성 공급을 차단했지만 신탁이라는 이름의 그림자금융이 양산한 증권화 상품에서 디폴트가 발생할 경우 리먼 사태와 같은 최악의 시나리오가 펼쳐질 것이라고 <포춘>은 주장했다.
중국 금융권이 설립한 신탁은 폰지와 같은 수법으로 투자자들에게 자금을 끌어 모았고, 원리금 상환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걷잡을 수 없는 시스템 위기가 찾아올 것이라는 경고다.
지난 2000년 중국 금융위기 당시 부실 여신 발생 비율을 적용, 전체 그림자금융 가운데 30%가 부실화된다고 가정할 때 중국 정부의 구제금융 부담은 1조3000억달러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온다.
<포춘>은 인민은행이 미국식 양적완화(QE)를 단행하는 데 걸림돌이 없는 상황이며, 즉시 이른바 ‘머니 프린팅’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은행권에 직접적인 자금 수혈보다 파산 위기에 몰린 신탁을 구제하는 데 자금을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기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