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차세대 SNS로 급부상하는 '소셜 큐레이션'.. 거품 논란도

기사입력 : 2013년02월06일 10:01

최종수정 : 2013년02월06일 10:09

대표주자 핀터레스트, 기업가치 25억달러..NYT "거품꺼질 우려도"

[뉴스핌=김윤경 국제전문기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는 빠르게 진화중이다. 단문 메시지를 재잘대며 주고받던 트위터와 '좋아요' 버튼으로 친구들과의 공감을 유도하며 네트워크를 돈독히 하게 했던 페이스북이 1세대였다면 2세대 SNS는 바로 소셜 큐레이션(Social Curation)이다.

소셜 큐레이션이란 미술관이나 박물관에서 작품의 수집과 보존, 전파 등을 위해 진행하는 행위인 '큐레이션'에서 의미를 차용한 것으로, 빅데이터(Big Data) 속에서 허우적댈 수밖에 없는 정보과잉의 시대에 정보의 선별과 요약을 돕는 서비스(활동)를 말한다. 넓게는 SNS라고 봐도 되지만 차세대 SNS라는 점을 특화하기 위해 소셜 큐레이션이란 이름으로 달리 불린다.

핀터레스트(pinterest)와 플립보드(Flipboard), 텀블러(Tumblr), 스토리파이(Storyfy) 페이퍼리(Paper.li), 비쥬얼리(Visual.ly) 등이 잘 알려져 있는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업체)들이다.

이 가운데 대표주자는 핀터레스트. 우리나라에선 아직 핀터레스트에 대한 인지도도 낮고 이용도 적은 편이지만 미국에선 그야말로 돌풍을 일으키고 있다. 페이스북 기업공개(IPO) 이후 SNS의 수익모델에 대한 회의가 오히려 더 공격받고 있는 가운데 핀터레스트는 자본의 러브콜을 받으며 급성장하고 있어 주목을 끈다.

◇ 소셜 큐레이션, 왜 뜰까

인터넷의 등장이 정보 유통의 1차적인 혁명적 변화를 가져왔다면 2차 혁명은 SNS가 몰고 왔다. 데이터 양은 이제 감히 헤아려보기도 어려울 정도가 됐다.

얼마나 많이 쌓이고 있는 지에 대해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은 이렇게 운을 뗐다.

슈미트 회장은 지난 2010년 열린 테크노미(Technomy) 컨퍼런스에서 "인류 문명이 시작된 이래 2003년까지 만들어진 데이터의 양은 5엑사바이트(EB, 10의 18제곱)에 불과했다. 이제 이틀마다 그 만큼의 데이터가 새로 추가되고 있으며 이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다"고 밝혔다.

시장조사업체 IDC는 이듬해 "2011년까지 쌓인 데이터는 1.8제타바이트(ZB)라고 했다. 슈미트 회장이 말한 것보다 2000배가 더 많다. 1ZB는 세계 60억 인구에게 한 사람당 약 4톤의 책을 나눠줄 수 있는 양이라고 한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데이터는 또한 과거처럼 정형화돼 있지도 않다. 기계적으로 의미를 파악하기 어려운 비정형 데이터가 대부분. 아이러니컬하게도 SNS와 스마트 단말기들을 통해 이런 정보를 생산하는 사람들이 정작 이렇게 쌓이는 정보를 제대로 활용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문제다. 검색 포털 서비스 정도 밖에는 수단이 없는 것.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 핀터레스트 웹 화면(출처=Pinterest)
그래서 생겨나고 있는 것이 각각의 다른 관심사와 목적에 따라 정보를 생산, 발견, 배치, 재해석하는 활동인 큐레이션인 것이다. <큐레이션>의 저자이자 동영상 큐레이션 서비스 업체인 미국 매그니파이닷넷의 스티븐 로젠바움 최고경영자(CEO)는 "인간이 수집하고 구성하는 대상에 질적인 판단을 추가해서 가치를 높이는 활동이 큐레이션"이라고 정의했다.

정보의 필터링이란 큰 뜻에서 본다면 큐레이션이란 전혀 새로운 개념은 사실 아니다. 여러 잡지들의 기사들을 모아 요약해서 잡지로 다시 펴낸 <리더스 다이제스트>도 큐레이션 서비스를 한 셈이다. 뉴스를 비롯한 각종 정보의 유통을 하게 된 네이버의 뉴스캐스트(현재는 뉴스스탠드)도 큐레이션이다. 

하지만 '소셜'이 붙으면 의미는 좀 더 주체적으로 바뀐다. 포털의 큐레이션이 단순히 기계언어를 통한 알고리즘으로 자동화돼 뿌려지는 식이라면 소셜 큐레이션은 인터넷 사용자(혹은 서비스 업체)가 직접 특정 분야를 정해 정보를 모으고 이것을 SNS를 통해 뿌리는 차별성을 갖는다.

LG경제연구원 허지성 책임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 SNS는 스스로 업데이트한 사진이나 비디오 등을 제외하면 정보 업데이트 순서대로만 열람을 할 수 있어 휘발성이 강하고 탐색이 어려웠다면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에서는 특정 테마와 주제를 중심으로 정보가 분류되고 정보의 형태도 특정 포맷 중심이라 열람과 검색이 훨씬 편리하다는 차별점이 있다.

◇ 핀터레스트의 급부상..기업가치 거품 아닐까?

핀터레스트를 설명하는 표현들은 다양하다. 사진공유 SNS라고 하기도 하고 온라인 스크랩 사이트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핀터레스트 자체적으로는 최근 자신들의 서비스를 '비주얼 소셜 큐레이션 서비스'라고 칭했다.

트위터가 RT를 이용하고 페이스북이 '좋아요'를 이용하는 것처럼 SNS 사용자들이 핀터레스트에서 쓰는 기능은 '핀잇(Pin It)' 기능이다. 사용자들이 관심있는(Interest) 분야의 정보 속을 서핑하다가 뽑아낸 정보를 개인의 스크랩 게시판인 핀보드(PinBoard)에 꽂아두는(Pin) 것을 의미한다. 

패션, 여행, 음식 등 특정 테마를 분류해 특화된 정보들을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핀보드에서 단순히 '좋아요(like)'도 할 수 있지만 리핀(repin)을 하면 트위터의 리트윗처럼 정보가 확산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시각적인 요소가 강조되는 것이 핀터레스트의 장점. 격자무늬(grid) 처럼 사진이 배치돼 관심사를 한 눈에 볼 수 있게 했다.

핀터레스트라는 회사는 지난 2008년 설립됐다. 서비스를 개시한 건 2010년 3월. 시장조사업체 컴스코어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월 순방문자수는 2800만명을 넘는다. 한 해 전 750만명이었던 것이 거의 네 배로 늘었다.

투자금도 몰리고 있다. 지난해 5월 일본 전자상거래 업체 라쿠텐으로부터 1억달러를 투자받았는데 당시 1주당 가격으로 쳐보면 기업가치는 15억달러였다. 2011년 초만해도 핀터레스트의 가치는 약 4000만달러에 불과했다.

그 밖에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 캐피탈(VC)인 베스머 벤처 파트너스(Bessemer Venture Partners),  넷스케이프, AOL 임원이었던 벤 호로비츠(Ben Horowitz)가 공동 창업자인 VC 안드리센 호로위츠(Andreesseen Horowitz), 퍼스트마크 캐피탈 등도 핀터레스트의 주요 주주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5일(현지시간) 핀터레스트가 또 새로운 자금 조달을 눈 앞에 두고 있다면서 이 자금 조달에서 기업가치는 20억~25억달러 가량으로 인정받게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아직까지 직원 수도 30명이 안되고 적자를 내고 있는 기업이지만 가능성만으로 기업 가치는 급격히 불어나고 있다. 

아직 상장하지 않았지만 안정적인 서비스를 하고 있는 트위터가 9억달러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것에 비하면 25억달러의 가치란 붕 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그렇지 않아도 같은 날 뉴욕타임스(NYT)는 '기업 가치가 10억달러에 달하는 회사(Billion-Dollar Club)'가 실리콘 밸리에 넘쳐나고 있는 모습을 우려하는 기사를 실었다. 핀터레스트도 여기에 속하는 기업. 

NYT는 기술력이 우수한 기업이라고 하더라도 과도하게 가치가 매겨지진 않았느냐는 우려가 있다면서 그루폰, 짚카, 페이스북 등의 기업가치가 IPO 이후 확 줄어든 것이 그런 우려를 뒷받침하는 예라고 보도했다.

[뉴스핌 Newspim] 김윤경 국제전문기자 (s91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