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초 양산형 준중형 전기차
-100% 모터 구동..1회 충전 160km 주행
-국내 소개된 전기차 중 유일한 배터리 교환
[뉴스핌=이강혁 기자] 르노삼성자동차가 전기차 대중화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 힘찬 발걸음을 옮기고 있다.
2012년 말부터 SM3를 기반으로 한 전기차를 부산공장에서 양산한다는 계획이다.
정부의 세제지원, 보조금 등 전기차 대중화의 해결 과제는 여전하지만 ‘배기가스 제로’라는 공통의 목표를 향한 르노삼성의 의지는 확고하다.
21일 르노삼성에 따르면 이미 첫 전기차는 개발을 끝내고 완성도 평가에 돌입한 상태다.
르노삼성의 첫 전기차는 'SM3 Z.E.'라 명명됐다. 르노-닛산 얼라이언스의 전기차 기술을 바탕으로 한 국내 최초의 양산형 준중형 전기차다.
회사 측은 전기차이기 때문에 겪을 수 있는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넓은 실내, 고품질, 안전한 전기차 기술을 선보이겠다는 포부다.
![](http://img.newspim.com/content/image/2011/09/21/20110921000069_0.jpg)
SM3 Z.E.는 이산화탄소 배출이 전혀 없고, 100% 모터로 구동되는 순수 전기차다.
1회 충전으로 160km 거리를 주행할 수 있다. 또 최고속도는 시속 150km에 달해 닛산 리프, 미쓰비시 아이미브 등 앞서 개발 및 양산된 전기차를 능가하는 성능을 갖췄다는 평가다.
차량에 장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는 무게가 약 250kg이다. 속도가 줄어들 경우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에너지 복원 시스템이 가동된다.
또, 차량에 장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를 트렁크에 수직으로 위치시켰다. 획기적인 발상의 전환이다. 차량의 전장은 배터리의 위치를 고려, 일반 SM3에 비해 약 13cm를 더 길게 제작했다.
특히, 르노삼성은 전기 충전의 불편함을 해소하는 ‘퀵드롭’ 방식을 채택했다.
기존 완속 충전(6시간)과 급속 충전(30분)을 비롯해 배터리 교환소에서 3분 내에 배터리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는 국내 소개된 전기차 중 유일한 배터리 교환 시스템이다.
또 SM3 Z.E.는 차체 크기와 무게 배분 등이 기존 SM3와 다르기 때문에 서스펜션 튜닝을 통해 안정성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르노삼성차 관계자는 “초기 자본투자를 최소화하고 대량 생산체제를 신속하게 갖춰 나감과 동시에 고품질을 보장할 것”이라며 “전기차 실증사업용 시작 차량을 올해 100대, 내년 500대씩 공급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2012년 말부터는 부산공장에서 본격적인 양산에 들어가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향후 EV 인프라 구축환경에 맞춰 구체적인 양산시점을 확정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자동차 업계에서 전기차에 대한 요구는 미룰 수 없는 현안이다.
세계 에너지 전망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오는 2030년에는 새로운 에너지 공급이 없으면 전 세계 에너지 수요는 40% 증가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신규 자동차 수요의 4분의3은 화석연료로 충당될 것이며, 이로 인해 온실가스 배출량은 3분의1 증가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21세기 말 온실가스 농도는 2배로 증가(1000ppm 도달)하기 때문에 평균 온도가 6도 상승될 것이라는 예측이다.
이와 같은 지구온난화, 온실가스 농도 등을 해결 방법은 자동차의 배기가스를 줄이는 것 외에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주장이다.
자동차 부문에서 전기차로의 전환은 생산(전기차 생산과 관련된 탄소 요인을 제거)과 주행 중 이산화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는 획기적인 해결책이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인기기사] 주식투자 3개월만에 `20억아파트` 샀다!
[뉴스핌 Newspim] 이강혁 기자 (ik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