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속보

더보기

국제기구들, '포괄적 위기 해법' 제안.. 사회적시장경제 등

기사입력 : 2009년02월06일 17:04

최종수정 : 2009년02월06일 17:04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뉴스핌=장안나 기자] 글로벌 경기침체의 골이 더욱 깊어짐에 따라, 국제적 차원의 공조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국제통화기금(IMF) 등 주요 국제기구의 대표들과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가 한 목소리로 글로벌 경제 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포괄적인 제도(overarching framework)" 설립의 필요성을 주창했다.

5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는 앙헬 구리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 파스칼 라미 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후안 소마비아 국제노동기구(ILO) 사무총장, 도미니크 스트로스-칸 IMF 총재, 로버트 죌릭 세계은행(World Bank) 총재 등과 회동, 세계 경제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한 뒤 공동성명서를 제출했다.

메르켈 총리는 이날 발표된 공동 성명을 통해, “우리는 현재 글로벌 위기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연히 국제적 차원의 해결책이 강구돼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사회적 시장경제(social-market economy)'의 효과적 발전을 통해 경제성장을 이끌어야 할 것’ 등을 포함해 5개 영역의 협력 방안이 제시됐다.

이들이 제안한 새로운 포괄적 기구는 "시장의 과잉을 막고 향후 위기 확산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설명됐다.

또한 이들은 "기업 지배, 부패와의 전쟁, 재정적 협력 등에 대한 OECD의 기존 정책 수단들이 지속가능한 경제적 통제를 위한 새로운 헌장의 기초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성명서는 이와 함께 선진∙신흥 20개국, 이른바 G-20이 글로벌 금융구조를 재건하는 데 긴밀히 협조하는 한편 올 4월 런던에서 개최될 G-20 회담이 국제금융구조를 강화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모든 국가들이 무역보호주의를 지양하고 세계무역의 추가 개방을 유도하는 한편, 각국의 경기부양책이 서로간 무역에 해가 되지 않는 방향으로 이뤄지도록 하는 데 모든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이번 성명서는 역설했다.

다음은 이날 발표된 공동 성명서의 전문이다.

Joint press release on the global economic crisis by Chancellor Angela Merkel, OECD Secretary-General, WTO Director-General, ILO Director-General, IMF Managing Director and World Bank President

Berlin, 5 February 2009

The downturn in global economic development demands determined and coordinated action by international economic policymakers. This is a global crisis and it needs global solutions. We welcome the initial major international effort to launch the recovery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sector and to pass tangible measures to stimulate the economy. The emerging economies with growing economic clout are taking part in this process and are prepared to do more in order to find solutions to global challenges. Within the G20 financial summit process, industrial and emerging economies along with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re working intensively to reorient the global financial architecture. In the future, it will be important to foster greater cooperation and networking among national governments,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other stakeholders, and to further develop these capacities institutionally. The fiv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will strengthen their cooperation in support of a stronger, cleaner and fairer economy. To this end we will work towards sustainable progress, especially in the following five fields of action:

1. Only the effective development of the social market economy can continue to guarantee economic growth. To ensure this development we need an overarching framework, supported by states and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at prevents excesses in the market and works to counter future crises. Existing OECD instruments, including for corporate governance, for fighting corruption or for co-operating in fiscal affairs, could serve as the basis of a new charter for sustainable economic governance. The ILO's "Decent Work Agenda" provides complementary elements regarding employment and enterprise development, social protection, human working conditions, sound labour relations and rights at work. A comprehensive charter could also include the acquis of the other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could be launched by the G20 countries. It should be open to receiving support from other countries.

2. We welcome the progress achieved so far within the framework of the G20 financial summit process. Now it is important to effectively implement the action plan formulated at the summit in Washington and to pass key joint measures for strengthening the international financial architecture at the follow-up summit in London at the beginning of April. The meeting must also address the needs of poor countries and vulnerable populations. We welcome the IMF's commitment to stabilizing troubled economies, as well as national efforts to strengthen the banking sector.

3. Despite today’s troubled state of the global economy, all countries have a duty to resist protectionist tendencies, work towards tangible further opening of world trade and ensure that their stimulus packages do not disrupt trade. Open trade and openness to cross-border investment are the best preconditions for ensuring that economic momentum is regained on a global scale. We regret that modalities were not adopte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WTO's Doha Round in the past year. It is even more important to achieve this goal in 2009.

4. The worldwide fight against climate change must remain a top priority. This year's UN Climate Change Conference in Copenhagen must lay the groundwork for the global efforts needed to curb climate change. This requires a shared commitment to ambitious global climate targets on the basis of common but differentiated responsibilities. More and more, climate protection is finding its way into the work programme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therefore, on this issue it is crucial to build an effective network among different organizations and with governments.

5. The financial crisis and the global economic downturn have had far-reaching effects, especially on developing countries. Against this background, it is more important than ever that the international community remain committed to its goals of fighting poverty and promoting economic development in poorer countries, thereby resolutely advanc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 particular. We welcome the new crisis facilities launched by the World Bank Group for trade finance, infrastructure, bank recapitalization, and microfinance and support its ongoing work to ensure that all regions of the world can share in long-term, global prosperity.
To guarante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global economy in the long run, it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at the trust-based dialogue between developed countries and the emerging economies and the OECD, WTO, ILO, IMF and World Bank be further intensified. We ask the Italian G8 Presidency to devote special attention to this concern.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李정부, 123개 국정과제 공식 확정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정부가 향후 5년간 국정 운영의 핵심 로드맵이 될 123대 국정과제를 본격 추진한다. 정부는 16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열고 국정과제를 포함한 국정과제 관리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국무회의에서 확정된 123대 국정과제는 지난달 13일 국정기획위원회에서 제안한 '이재명 정부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을 정부 차원의 검토 및 조정·보완을 거쳐 확정한 것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최종 확정된 국정과제 체계는 '국민이 주인인 나라, 함께 행복한 대한민국'이라는 국가비전 아래 5대 국정목표, 23대 추진전략, 123대 과제로 구성됐다. 5대 국정목표는 ▲국민이 하나되는 정치 ▲세계를 이끄는 혁신경제 ▲모두가 잘사는 균형성장 ▲기본이 튼튼한 사회 ▲국익 중심의 외교안보다. 우선 정부는 국민주권 실현 및 대통령 책임 강화를 위한 개헌을 추진한다. 4년 연임제 및 결선투표제 도입, 감사원 국회 소속 이관, 대통령 거부권 제한, 국무총리 국회추천제 도입 등이 개헌안에 담길 전망이다. 권력기관 개혁을 통한 민주주의 확립, 독자 인공지능(AI) 생태계 및 AI고속도로 구축, 5극3특 중심 혁신·일자리 거점 조성,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 산재 감축 등의 내용도 국정과제에 담겼다. 또 이재명 정부 임기 내 전시작전통제권 전환을 완료하는 강군 육성 방안도 포함됐다. 행정수도 세종 완성과 2차 공공기관 이전도 차질없이 진행할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가균형발전 관련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있다. [사진=KTV] 국정과제 이행을 위한 범정부 추진체계도 구축한다. 온라인 국정관리시스템과 오프라인 범부처 협의체를 운영, 국정과제 추진상황을 지속 관리한다. 입법성과 조기 창출을 위해 법제처에 국정입법상황실을 두고, 국정과제 입법 전주기를 밀착 관리한다. 국정과제 중 입법조치가 필요한 사항은 법률 751건, 하위법령 215건 등 총 966건으로 나타났다. 이 중 법률안 110건은 연내 국회 제출하고, 하위법령 66건 올해 제·개정한다는 계획이다.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정책성과를 국민이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도록 한다. 온라인 소통창구인 '국정과제 소통광장'을 마련, 국민이 제기한 의견을 정부가 신속히 답하는 쌍방향 소통채널을 만든다. 국민만족도 조사는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민생 관련 중요 국정과제는 민관합동 현장점검을 실시한다. 국정과제 추진성과를 평가하기 위한 '정부업무평가 기본계획('25~'27)' 및 '2025년도 정부업무평가 시행계획 수정안'도 이날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 올해는 미래 전략산업 육성 등 각 부처가 역점 추진하는 정책과제, 신산업 등 규제 합리화, AI 활용 일하는 방식 혁신, 디지털 소통·홍보 노력 강화 등을 중점 평가할 예정이다. 국민주권정부에 걸맞게 평가 과정에 국민 참여를 확대하고, 국민 만족도 조사 결과도 비중 있게 반영한다. 국무조정실은 "향후 국정과제 추진과정에서 국민의견을 수시로 청취하고 소통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라며 "국민요구와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해 이행계획도 지속 보완하며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9-16 14:04
사진
코어위브, 엔비디아와 8조원대 계약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데이터센터 운영업체인 코어위브(종목코드: CRWV)는 인공지능(AI) 칩 선두 주자 엔비디아와 63억 달러(8조7160억원) 규모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 주문 계약을 체결했다고 15일(현지시간) 밝혔다. 엔비디아는 이번 계약을 통해 2032년 4월 13일 까지 코어위브가 고객에게 판매하지 않은 모든 클라우드 용량을 구매하기로 했다. 엔비디아와 수주 계약 체결 소식이 전해진 후 코어위브 주가는 뉴욕 정규장 거래에서 8% 상승했다. 지난 3월 상장 이후 이 회사 주가는 3배 뛰었다. 코어위브는 미국과 유럽에서 엔비디아의 GPU 칩을 탑재한 대규모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며 이를 임대하거나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판매하고 있다. 이번 계약으로 코어위브는 엔비디아의 핵심 클라우드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공고히 하고 AI 컴퓨팅 용량 수요 감소 가능성에 대한 완충장치를 마련하게 됐다고 로이터 통신은 평가했다. 코어위브는 일찌감치 엔비디아의 눈도장을 받아 2023년 투자를 받았다. 엔비디아는 코어위브 지분을 6% 넘게 보유하고 있다. 코어위브는 지난 3월 공모가 40달러에 뉴욕 증시에 상장한 후 AI 열풍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 수요 급증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했다. 투자은행 바클레이즈는 "이번 계약은 최종 고객과 상관없이 용량이 활용될 것을 보장함으로써 코어위브의 안전장치 역할을 한다"며 "투자자들은 코어위브가 최대 고객사 2곳(마이크로소프트와 오픈AI) 외에 데이터센터 용량을 채울 수 있을지 우려해왔는데, 이번 계약으로 이런 우려가 사라졌다"고 분석했다.  코어위브 로고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9.16 kongsikpark@newspim.com 코어위브는 지난 3월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119억 달러 규모의 5년 계약에 합의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기로 한 바 있다. 오픈AI는 2029년 4월까지 40억 달러까지 지급하기로 약속하는 추가 협정을 맺었다. kongsikpark@newspim.com 2025-09-16 13:03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