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인공지능(AI) 붐이 촉발하는 전기요금 오름세로 서민들의 고통이 깊어지고 있으니 백악관이 서둘러 대책 마련에 나서라고 미국 좌파 진영의 거두 버니 샌더스 상원의원(무소속)이 요구했다.
현지시간 10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샌더스 의원과 민주당 리처드 블루먼솔 상원의원(코네티컷) 등은 이날 정부에 AI용 데이터센터가 전기요금 상승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누그러뜨릴 것인지 계획을 내놓으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백악관과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에게 보낸 서한에서 메타(종목코드: META)와 오픈AI, 알파벳(GOOGL), 오라클 (ORCL)등과 같은 빅테크 기업들이 워싱턴 교외에서 오리건의 시골까지 데이터센터를 확장하고 있다며 한정된 전력생산 능력을 감안할 때 서민들의 전기요금 부담은 계속 커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크리스 밴홀런 상원의원(민주당, 메릴랜드) 에드 마키 상원의원(민주당, 매사추세츠), 론 와이든 상원의원(민주당, 오리건)도 이번 서한에 공동 서명했다. 특히 와이든 의원의 지역구인 오리건주는 미국 내 최대 데이터센터 군집 지역 중 하나로 꼽힌다.
WSJ는 이들이 보낸 서한은 미국 경제(특히 기업 투자 부문)와 증시 랠리를 주도하는 AI 붐에 대한 서민 복리 후생 측면에서 반발이 커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최신 사례라고 평했다.
AI 발전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는 전력생산 능력에 대한 우려는 커지고 있다. 최근 미국 안에서는 지역 시민운동 단체를 중심으로 '연방정부로부터 세제 혜택을 받으면서, 막대한 전력을 폭식하는 데이터센터의 문제점과 해결책을 요구하는' 운동이 일고 있다.
신문은 유권자들의 전기요금 불만은 최근 뉴저지와 버지니아주 등의 지방선거(주지사 선거 등)에서 민주당이 승리하는 데 일조했다고 덧붙였다.
블루먼솔 의원은 "데이터센터를 막자는 게 아니라, 관련 비용을 해당 시설을 세운 거대 기업들이 부담해야 한다는 취지"라며 "전기요금 통제 및 인하를 위해 연방정부 차원의 안전장치와 감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전력 규제기관과 지방 관료들이 거대 기업의 막대한 자금 압력에 굴복할 수도 있다는 점이 우려된다"고 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에서 에너지 비용을 50% 절감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다. 이후로 휘발유 가격은 다소 하락했지만 지난 9월 기준 미국인의 전기요금이 1년 전보다 5.1% 상승했다.
한편 데이터센터의 폭발적 확장과 제조업 리쇼어링(본국 회귀)으로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탄소 없는 안정적 전원'으로서 핵에너지의 가치도 재평가되고 있다. 이는 미국 내 신규 원전 투자 붐을 낳고 있다.
☞ "AI 데이터센터에 전력 몰린다"… 핵발전 르네상스, 다시 불 붙었다
![]() |
| 코어위브 데이터센터 [사진=업체 제공] |
osy75@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