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여자프로농구 2025-2026시즌이 16일 부산 사직체육관에서 부산 BNK와 인천 신한은행의 공식 개막전을 시작으로 5개월의 대장정을 시작한다. 시즌 개막을 맞아 관전 포인트 위주로 여자프로농구 판도를 정리해봤다.
정규시즌은 내년 4월 3일까지 6개 팀이 6라운드 30경기씩 치른다. 4강 플레이오프는 내년 4월 8일~15일(3전 2승제), 챔피언결정전은 4월 19일~30일(5전 3승제) 열린다. 올스타전은 내년 1월 4일로 예정돼 있다. 내년 2월 28일~3월 22일 여자농구 월드컵 최종예선 기간엔 리그가 잠시 중단된다.
![]() |
| 박지수. [사진=KB] |
◆ '대들보의 귀환'…박지수가 돌아왔다
이번 시즌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는 박지수의 복귀다. 튀르키예 갈라타사라이에서 한 시즌을 보낸 박지수는 청주 KB 유니폼을 다시 입고 국내 무대에 복귀한다. 198㎝의 압도적인 높이에 유럽 무대 경험까지 더해진 박지수는 팀의 내외곽 밸런스를 완성할 핵심이다.
김완수 감독 체제의 KB는 허예은, 강이슬의 외곽과 박지수의 골 밑이 결합될 경우 '완전체'로 평가받는다. 전문가들 역시 KB를 올 시즌 우승 0순위로 꼽고 있다.
![]() |
| BNK 김소니아(왼쪽)와 박정은 감독. [사진 = WKBL] |
◆ BNK의 2연패 도전 가능할까
정규시즌 2위였으나 챔피언결정전에서 우리은행을 3연승으로 제압하며 창단 첫 우승을 달성한 BNK는 디펜딩 챔피언의 자존심을 안고 시즌을 맞이한다.
주포 진안과 베테랑 박혜진, 김소니아를 중심으로 뭉친 BNK는 우승 경험에서 나오는 자신감을 앞세워 2연패 사냥에 나선다. 다만 부천 하나은행으로 떠난 아시아쿼터 이이지마 사키의 이적 공백을 얼마나 메우느냐가 변수로 꼽힌다.
![]() |
| 2024~2025 정규시즌 MVP 김단비. [사진=WKBL] |
◆ 믿고 보는 우리은행, 김단비의 리더십
김단비와 위성우 감독이 이끄는 아산 우리은행은 여전히 강력한 우승 후보 중 하나다. 지난 시즌 준우승에도 김단비의 존재감과 위성우 감독의 전술 완성도는 여전히 탄탄하다.
여기에 이민지, 이명관, 박혜미 등 젊은 자원들의 성장세가 이어진다면 세대교체의 성공 모델로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다.
![]() |
| 이상범 감독. [사진=하나은행] |
◆ 새 감독, 새 바람…이상범·최윤아의 도전
이번 시즌에는 두 명의 새 사령탑이 등장한다. 남자프로농구 원주 DB를 이끌던 이상범 감독은 하나은행으로 자리를 옮겨 여자농구 첫 시즌을 치른다.
여자프로농구 사상 첫 공식 개막전에서 여성 감독간 맞대결을 하는 최윤아 신한은행 감독의 지도력에도 이목이 쏠린다. BNK 사령탑은 박정은 감독이다. 두 명의 새 감독이 리그 판도에 어떤 새 바람을 일으킬지 기대된다.
![]() |
| 최윤아 감독. [사진=신한은행] |
◆ '영원한 언니' 김정은, 역사에 도전
하나은행 38세 베테랑 김정은은 정규시즌 통산 최다 출전(600경기) 기록에 11경기만을 남겨두고 있다. 이미 통산 득점 1위(8333점)에 올라 있는 김정은은 3000리바운드 고지도 눈앞에 뒀다.
이번 시즌은 김정은의 마지막 무대가 될 수도 있는 만큼 '라스트 댄스'의 여운이 코트를 채울 전망이다.
![]() |
| 김정은. [사진 = WKBL] |
◆ 아시아쿼터·신인들의 새 바람
이번 시즌부터 3쿼터에 아시아쿼터 2명 동시 출전이 가능해진다. 팀에 따라 일본 선수 운용 폭이 넓어진 가운데
이이지마 사키, 스나가와 나츠키(BNK), 히라노 미츠키(신한은행) 등이 각 팀에서 어떤 변화를 이끌지 주목된다.
신인 드래프트 전체 1순위 이가현(신한은행), 재일교포 출신 고리미(삼성생명) 등 새 얼굴들도 리그에 활력을 불어넣을 기대주다.
![]() |
|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신한은행으로부터 전체 1순위 지명을 받은 수피아여고 포워드 이가현. [사진=WKBL] 2025.08.20 zangpabo@newspim.com |
◆ 새 시즌 달라진 규정
비디오판독 파울 챌린지가 기존 2회에서 1+1회(성공 시 1회 추가)로 변경됐다. 연장전 챌린지 1회 제도는 그대로 유지된다.
24초 종료, 골텐딩, 샷 시각 오류, 아웃 오브 바운드 등 일부 비득점 판정도 판독 요청 가능 항목에 포함됐다. 경기 후반 클러치 상황에서 판정 정밀도가 높아질 전망이다.
zangpabo@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