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zon Bedrock·Strands SDK 기반, 반복 테스트 효율화
AI가 활용해 설치 시간 최대 80% 단축...수작업 오류도 최소화
기술 지원 어려운 중소 협력사 경쟁력 강화 기대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LG유플러스(LGU+)가 아마존웹서비스(AWS)와 손잡고 AI가 스스로 추론·판단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자동 설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4일 LG유플러스는 아마존웹서비스와 협력해 '에이전틱(Agentic) AI 기반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자동 설치 기술'을 공동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는 AI가 설치 전 과정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으로, 기존 수작업 대비 설치 소요 시간을 최대 80% 줄일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물리적 네트워크 장비처럼 동작하도록 구현된 가상 장비를 말한다. 양사가 개발한 기술은 네트워크 장비 소프트웨어를 에이전틱 AI가 자동으로 설치하는 것이 핵심이다.
![]() |
| 사진은 LG유플러스 직원들이 '에이전틱(Agentic) AI'를 활용해 클라우드 네이티브 네트워크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모습. [사진=LG유플러스] |
양사는 아마존웹서비스의 '아마존 베드록(Amazon Bedrock)'과 '스트랜즈 에이전트 SDK(Strands-Agents SDK)'를 활용해 여러 AI 에이전트가 협력하며 설치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도록 설계했다. 이를 통해 반복적인 테스트 시간을 단축하고 복잡한 설치 시나리오를 빠르게 검증했다.
이 기술에서 사용된 '에이전틱 AI'는 단순 질의응답형을 넘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AI 기술이다. LG유플러스와 아마존웹서비스는 소프트웨어 설계 문서를 사전 학습시켜 AI가 클라우드 인프라 구성부터 네트워크 장비의 파라미터 수집·설정·문제 해결까지 전 과정을 자율적으로 수행하도록 구현했다.
기존에는 각 영역별 엔지니어가 수동으로 설치를 진행해야 했지만 이번 기술을 적용하면 수작업 오류를 줄이고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 기술 지원 역량이 부족한 중소 장비회사들도 해당 기술을 활용해 설치 장벽을 크게 낮출 수 있어 새로운 파트너 발굴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
양사는 글로벌 시장에서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반 네트워크 전환이 가속화되는 흐름 속에서 이번 기술이 높은 활용도를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네트워크의 지능화·자율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가운데 AI 기반 자동 설치는 향후 '자율 네트워크(Autonomous Network)' 구현의 핵심 기술로 자리잡을 전망이다.
이상헌 LG유플러스 NW선행개발담당은 "자율 네트워크의 핵심 기술인 에이전틱 AI를 활용해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고객 품질 혁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고객에 대한 깊은 이해와 높은 기술력으로 고객에게 가장 필요한 핵심 미래 네트워크 기술을 확보해 밝고 지속 가능한 세상을 만들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