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역보고회…외국인·기업 실태조사 기반 맞춤형 이민정책 추진
[무안=뉴스핌] 조은정 기자 = 전남도가 외국인 인력난 해소와 지역 정착을 위한 독자적 이민정책 모델을 본격 추진한다.
전남도는 지난 24일 '산업수요 대응 외국인·기업 실태조사 및 전남형 이민정책 모델 발굴 용역' 최종보고회를 열고 맞춤형 이민정책 설계에 나섰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용역은 법무부 산하 이민정책연구원과 전남연구원이 공동 수행했다.
![]() |
전남형 이민정책 모델 발굴 용역 최종보고회. [사진=전남도] 2025.09.25 ej7648@newspim.com |
실태조사 결과 도내 외국인 주민 1300여 명은 언어 장벽과 경제활동 제약, 자녀 교육, 사회적 교류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한국어 교육 기반 확충, 통역·상담 서비스 제공, 내외국인 간 커뮤니티 활성화 등이 시급한 과제로 제시됐다.
기업 실태조사에서는 도내 707개 기업 가운데 최근 1년간 농어업은 평균 6.2명, 일반 사업장은 평균 9.1명의 외국인을 고용했으며 향후 16.4%의 기업이 추가 채용을 계획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다수는 '장기·숙련 외국인력'을 우선 희망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외국인 채용에 따른 애로사항으로는 복잡한 절차, 언어 소통 문제, 잦은 사업장 이동 등이 꼽혔다. 특히 농어업과 건설업 분야에서는 계절·한시적 인력 수요 충족이 쉽지 않다는 지적이 많았다. 이에 대응해 전남도는 지역과 작물 특성을 고려한 '릴레이 계절근로제', 공적개발원조(ODA)를 활용한 숙련인력 유치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윤연화 전남도 인구청년이민국장은 "지역 주도의 적극적인 이민정책만이 인력난 해소와 전남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끌 수 있다"며 "도출된 과제를 종합해 전남형 이민정책을 구체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이미 외국인 주민 지원 종합계획 수립을 위해 8개 분야 부서 합동 TF를 꾸렸으며 이번 용역 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인 정착 지원 정책을 본격 마련할 계획이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