外人, 올해 들어 印 주식 및 채권 14조원어치 팔아 치워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인도 당국이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자 등록 절차 및 심사 완화를 검토 중이다. 미국 관세 등에 대한 우려로 외국인 매도세가 강화된 것이 배경이다.
23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은 복수의 소식통을 인용, 인도 증시 규제 당국인 인도증권거래위원회(SEBI)와 중앙은행(RBI)이 최근 해외 투자자들의 인도 시장 진입 절차 간소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필요 서류 제출을 축소하고, 다른 국가에서 규제를 받는 투자자들에 대한 심사를 완화함으로써 외국인 투자자 등록 기간을 기존 6개월에서 30~60일로 단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 소식통은 "SEBI는 최근 외국인 투자자들을 위한 웹사이트를 개설했다"며 "외국인 투자자들이 필요 문건을 직접 제출하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전했다.
RBI의 경우 SEBI가 규제하는 해외 집합투자기구(보험사 및 뮤추얼펀드)에 대한 문서 요구 조건을 완화할 예정이다. SEBI가 지난 2019년 공공 소매 펀드에 대한 제출 문서 요건을 완화해 정부 소유 펀드와 동일한 수준으로 맞춘 것처럼 RBI 역시 비슷한 완화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미다.
RBI는 또한 외국인 투자자의 은행 계좌 개설 요건도 SEBI의 등록 요건과 같은 수준으로 조정할 계획이다. 현재 RBI는 각 은행들에 대해 외국인 투자자의 자금 출처 확인 및 신원 증명 등 위험 기반 평가를 진행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소식통들은 "인도 당국 고위 관계자들은 유럽과 아시아·미국 전역의 200개 이상의 글로벌 자산 관리자들과 만나 인도 시장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 데 대한 조언을 구했다"며 이와 별개로 6개국의 투자자 대표단이 이달 초 RBI와 SEBI, 증권 거래소 및 재무부 관계자들과 회동했다고 전했다.
투힌 칸타 판데이 SEBI 위원장은 "해외 투자자들의 투자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여러 이해관계자들과 협력 중"이라며 "규제 기관 전반에 걸쳐 고객확인(KYC) 인증 절차를 간소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인도 당국의 이 같은 노력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로 인도 경제 및 시장이 불확실성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로이터는 지적했다.
매체에 따르면, 해외 투자자들은 올해 들어 현재까지 인도 주식 시장과 채권 시장에서 약 100억 달러(약 14조원)의 순매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기업들의 저조한 실적과 미국의 추가 관세 부과로 7~8월 매도세가 더욱 강화됐다.
해외 투자자를 위한 로비스트인 아시아증권산업금융시장협회의 유지니 셴 이사는 "SEBI와 RBI는 올해 외국인 투자자가 인도에 보다 쉽게 투자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데 매우 적극적인 모습"이라고 말했다.
![]() |
[이미지=로이터] |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