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행동 기회소득, 도민 1420만 명 참여
경기 RE100 등 정책, 전국 모델로 부상
청정대기 국제포럼, 글로벌 확장 견인
[수원=뉴스핌] 박승봉 기자 =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선8기 핵심 의제로 내세운 기후위기 대응 정책이 이재명 정부의 신재생에너지·에너지 전환 국정 방향과 맞물리며 전국적 모델로 자리잡고 있다.
4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김 지사는 기후보험, RE100, 기후위성, 기후펀드, 기후행동 기회소득, 기후도민총회 등 굵직한 정책을 통해 "국민주권 정부와 함께 기후정책의 새 길을 열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 |
경기도는 2일 경기융합타운에서 '2025 청정대기 국제포럼'을 열고, 대기환경 개선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 공동협력의 시작을 알렸다. [사진=경기도] |
◆ 기후행동 기회소득·도민총회, 참여형 모델 구축
김 지사가 가장 애착을 갖는 정책으로 꼽은 '기후행동 기회소득'은 도민 1420만 명이 일상에서 실천 가능한 기후행동에 참여하도록 설계됐다.
지난해 7월 출시된 앱은 이미 150만 명이 가입했으며, 그 효과는 "온실가스 저감량이 나무 245만 그루를 심은 것과 같다"는 분석으로 이어졌다. 경기도는 네이버와 손잡고 ESG 프로그램과 연계해 리워드를 사회공헌으로 전환하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 |
경기도는 2일 경기융합타운에서 '2025 청정대기 국제포럼'을 열고, 대기환경 개선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 공동협력의 시작을 알렸다. [사진=경기도] |
또 다른 상징적 시도는 '기후도민총회'다. 국회·도의회 수준의 입법권은 없지만 도민이 안건을 논의하고 집행부가 이를 정책에 반영하는 구조를 시도하며, 협치형 기후 거버넌스 모델을 제시했다.
김 지사는 "도민이 동등한 당사자로 참여하는 구조를 통해 기후정책의 체화를 이끌어내고 싶다"고 말했다.
◆ 경기 RE100·기후위성·기후펀드, 전국 최초 정책 실험
경기도는 '경기 RE100'을 선포하며 공공기관 RE100을 대한민국 최초로 달성하겠다고 공언했다. 도청과 산하 공공기관 28곳은 올해 말까지 100% 신재생에너지 공급 체계를 완성할 예정이다.
![]() |
경기도는 3일 성남시 소재 네이버 1784 본사에서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기행기소 실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사진=경기도] |
동시에 공영주차장 태양광, 영농형 태양광, 철도 회생에너지 시스템 구축 등 도비 749억 원을 투입해 19.8MW 규모의 신재생 에너지 전환 사업을 추진한다.
여기에 ▲11월 발사 예정인 기후위성 ▲주민·기업·지자체가 함께하는 기후펀드 ▲재해 취약계층에 6500건 보험금을 지급한 기후보험은 전국 어디에도 없는 선도적 사례다. 특히 기후보험의 91%가 취약계층에 돌아가 '기후격차'를 줄이는 사회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다.
김 지사는 "기후보험·펀드·위성은 광역지자체 최초의 실험으로 중앙정부와 국제사회에 공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 청정대기 국제포럼, 글로벌 연대 속 국가 에너지 대전환 견인
![]() |
경기도는 3일 성남시 소재 네이버 1784 본사에서 경기도 기후위기대응위원회 제2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기행기소 실천 파트너십'을 발표했다. [사진=경기도] |
지난 2일 개막한 '청정대기 국제포럼'은 경기도 기후정책의 국제적 확장판이었다. UNEP, WHO, ESCAP 등 국제기구와 아시아 7개국 지방정부가 함께 한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경기도의 경험과 데이터를 중앙정부와 국제사회와 나누겠다"며 대한민국 기후정책의 페이스메이커 역할을 자임했다.
이재명 정부가 국정과제로 제시한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후행동 체계 구축, 사회적 불평등 해소와 맞물리면서 경기도의 정책은 국가 차원의 시범 모델로 부상했다.
김 지사는 "지난 3년간 대한민국은 기후문제에서 퇴행이 있었지만 경기도는 한 치 흔들림 없이 꿋꿋이 걸어왔다"며 "이제 국민주권 정부와 함께 돌봄과 기후의 길을 열겠다"고 강조했다.
![]() |
경기도는 2일 경기융합타운에서 '2025 청정대기 국제포럼'을 열고, 대기환경 개선과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국제 공동협력의 시작을 알렸다. [사진=경기도] |
◆ 김동연 경기도지사의 민선8기 기후정책 타임라인
▲ 2022년
7월 : 김동연 경기도지사 취임, "돌봄과 기후"를 도정 핵심 의제로 천명
하반기 : '간병 SOS 프로젝트', '기후 SOS 정책' 시범 추진 → 사회·기후 안전망 강화 선언
▲ 2023년
3월 : 경기 RE100 선언 → 전국 최초로 공공기관 RE100 추진 발표
6월 : 기후행동 기회소득 앱 출시 → 도민 참여형 기후행동 리워드제 도입
9월 : 청정대기 국제포럼(6회차) 개최 → UNEP 등 국제기구 참여, 글로벌 협력 기반 마련
12월 : '기후도민총회' 준비 작업 착수 → 도민 참여형 기후 거버넌스 제도화 추진
▲ 2024년
1월 : 공공기관 RE100 실행 착수 → 도청·산하기관 태양광·신재생 공급 확대
4월 : 경기 기후보험 도입 → 기후재난 피해 도민 대상 보험금 지급 시작
7월 : 기후펀드 설계 발표 → 주민·기업·지자체가 함께하는 재생에너지 투자 모델 구축
12월 : 기후위성 개발 진척 공개 → 2025년 발사 목표 확정
▲ 2025년
6월 : 기후도민총회 공식 출범 → 도민 직접 참여형 의사결정 플랫폼 운영 시작
7월 : 오산 옹벽 붕괴 사고 대응 정책 보완 → 기후재난 대응 안전망 강화 논의
8월 : 청정대기 국제포럼(7회차) 개최 → 기후세대-기성세대 대화, UNEP·WHO 등 국제사회와 협력
8월 : 네이버와 '기행기소 ESG 파트너십' 체결 → 전자문서 활용 리워드, 기후행동-소비-사회공헌 선순환 모델 구축
11월(예정) : 경기 기후위성 발사 → 광역지자체 최초 위성 기반 대기질·온실가스 모니터링
연내 : 공공기관 28곳 RE100 달성 예정 → 전국 최초 공공 RE100 완성
▲ 주요 성과와 의미
참여형 기후행동 : 기후행동 기회소득(앱 가입자 150만 명), 기후도민총회
에너지 전환 선도 : 공공 RE100, 영농형 태양광·철도 회생에너지 활용 등
사회안전망 강화 : 기후보험(6500건 지급, 91% 취약계층), 기후펀드
글로벌 리더십 : 청정대기 국제포럼, 기후위성 발사 준비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