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특화 자원 기반 고부가가치 산업화 추진
산·학·연 협력으로 기능성 소재 산업 육성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가 서부경남을 중심으로 '그린바이오산업 글로컬 혁신거점' 구축에 나섰다.
도는 서부권 주요 농·임·축산물 자원을 기반으로 기능성 소재 산업을 육성해 대한민국 그린바이오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다.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은 2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서부경남의 풍부한 생물자원을 바탕으로 고부가가치 산업화를 이끌고, 혁신기술 상용화 전환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 |
이정곤 경남도 농정국장(가운데)이 28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서부경남 '그린바이오산업 글로컬 혁신거점' 구축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08.28 |
도는 지난 14일 경상국립대에서 진주·남해·하동·산청·함양 등 5개 시군과 산·학·연 18개 기관이 참여한 가운데 '그린바이오산업 육성지구 조성' 협약을 체결했다.
서부경남은 진주의 콩·들깨·딸기, 남해의 마늘·유자, 하동의 녹차·감, 산청의 도라지·양잠, 함양의 산양삼·여주 등 지역특화 자원이 풍부해 산업화 잠재력이 크다는 평가다. 협약 기관들은 시설 구축, 전문인력 양성, 벤처 발굴, 투자유치 등 전 단계에서 협력하기로 했다.
도는 오는 10월 농림축산식품부 '그린바이오 육성지구 지정'에 응모한다. '6차 산업'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결합한 '10차 산업' 개념을 접목해 그린바이오 경쟁력을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지정되면 국비 공모사업 참여, 기업지원 가점, 부지활용 특례 등 각종 혜택이 주어져 창업기업이 개발한 혁신기술의 상용화가 촉진될 전망이다. 도는 연구개발·실증·사업화·시장진입을 아우르는 전주기 지원 체계를 본격화할 계획이다.
도는 2023년 '그린바이오 벤처캠퍼스 조성사업' 공모에 선정됐다. 총 338억 원을 투입해 진주바이오산업진흥원 내에 지상 6층, 연면적 5730㎡ 규모의 벤처캠퍼스를 건립하며, 오는 9월 착공해 2027년 4월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내년에는 '천연물소재 전주기 표준화 허브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재배·추출·검증 과정을 표준화하고 비임상·임상 지원, 효능 DB 구축 등을 통해 천연물의 안정적 공급체계를 마련한다. 기능성식품, 의약품 원료산업에도 활용될 예정이다.
도는 향후 시군 간 회의, 관계 기관 협의회, 정례 심포지엄 등을 확대하며 지구 지정 준비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아울러 창업·중소기업 지원, 신산업 일자리 창출, 글로벌 시장 진출 확대를 통해 지역경제 활력을 불어넣겠다는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정곤 국장은 "서부경남의 농·임·축산 자원을 활용해 기능성 물질 산업으로 고부가가치를 창출하겠다"며 "그린바이오 육성지구 지정은 혁신기술의 상용화 기반을 다지는 중요한 출발점인 만큼 경남이 국가 그린바이오산업의 중심지로 성장할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하겠다"고 강조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