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 항만과 구도심 재탄생 가능성 탐색
싱가포르, 보스턴 사례 연구 전략적 접근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현행 용도지역 체계를 유지하면서도 창의적 공간계획을 가능케 하는 '공간혁신구역(3종)' 후보지 수요발굴을 위해 31일부터 8월 25일까지 수요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번 수요조사는 도시계획 특례구역인 공간혁신구역 지정 확대를 통해 도심 내 다양한 기능 복합과 성장거점 조성을 목표로 한다.
![]() |
도시계획시설 입체복합구역 적용 예시 [사진=부산시] 2025.07.31 |
시는 이미 한국토지주택공사(LH), ㈜파크랜드와 협력해 영도구 공업지역 활성화 사업과 금정구 금사산업혁신플랫폼 사업 등 두 곳을 선도사업 후보지로 추진 중이다.
'공간혁신구역(3종)'은 국토계획법 개정에 따라 오는 8월 7일부터 시행되는 제도로,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째, 토지 용도와 밀도를 자유롭게 계획하는 '도시혁신구역', 둘째, 용도를 자유롭게 계획하고 밀도를 상향하는 '복합용도구역', 셋째, 도시계획시설과 비시설을 입체복합하고 밀도를 높이는 '도시계획시설 입체복합구역'이다.
이번 수요조사는 기존 선도사업 외에도 다양한 후보지를 추가 발굴하고 주민 및 이해관계자에게 주요 내용을 홍보하기 위해 마련됐다. 토지소유자 등은 다음달 25일까지 전자우편으로 관련 서류를 제출하면 된다.
시는 접수된 제안을 대상으로 실현 가능성과 지정 타당성을 종합 검토해 올해 가을 중 새로운 후보지를 선정할 예정이다. 선정된 지역에는 사전 상담 및 행정 지원이 제공되며 일부는 현재 진행 중인 '부산형 도시혁신 공간계획'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민순기 부산시 도시공간계획국장은 "주민과 기업, 기관들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기대한다"며 "다양한 기능 융복합으로 도심 활성화에 기여하는 공간혁신 구역 조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정책은 싱가포르 마리나베이와 미국 보스턴 혁신 지구 사례처럼 노후 항만 배후단지나 쇠퇴한 구도심 등을 업무·주거·문화 복합단지로 재탄생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