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선 출도착 게이트 5개소의 추가 운영
일 50여편 국제선 항공기 수용 가능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인천국제공항공사가 국내선 게이트 3개소를 국제선과 혼용 가능한 스윙게이트로 전환했다.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국제선 항공여객 수요를 대비한 인천공항의 운영 효율화를 위한 조치다.
![]() |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 국내·국제선 혼용 스윙게이트 조감도. [자료=인천국제공항공사] |
24일 공사는 제1여객터미널 국내선 전용게이트 3개소를 국내선과 국제선으로 혼용해 사용할 수 있는 하이브리드 형태의 스윙게이트로 시설 개선 공사를 완료했다고 밝혔다. 국제선 도착 전용 게이트로 전환해 상시 운영한다.
공항에서 국제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세관검사, 출입국심사, 검역 등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반면 국내선 승객들은 이러한 절차가 불필요하므로 국내선과 국제선 승객의 동선 분리는 필수적이다. 이 때문에 국제공항에서는 국내선과 국제선 게이트를 물리적으로 구분해 지정·운영해야 한다.
인천공항은 2018년 3월 국내선 정기노선 운항이 중단된 이후 제1여객터미널 국내선 전용게이트가 유휴 상태로 남았다. 이번에 국내선과 국제선 양방향 모두 개폐가 가능한 벽체, 전용 출입문 등 출입통제시설을 설치함으로써 국제선 운항수요 및 지방공항 비정상(악천후) 등 제반 상황에 따라 탄력적으로 국내선과 국제선을 전환 운영할 수 있도록 했다.
이를 통해 일일 30여편의 국제선 도착 항공기의 추가 수용이 가능하다. 제2여객터미널 또한 오는 25일부터 국제선 게이트 5개소를 추가 운영, 하루 약 50편에 달하는 국제선 출도착 항공기를 추가로 수용할 수 있다.
하계 성수기 인천공항 제1여객터미널의 국제선 게이트 수를 기존 41개소에서 44개소로, 제2여객터미널은 42개소에서 47개소로 각각 확대한다. 기존 노후 스윙게이트 3개소를 포함한 제1여객터미널 전체 스윙게이트 6개소의 출입통제시설 일체를 전면 교체하고 첨단 디지털 보안 출입통제시스템을 구축해 항공보안 역량을 한층 강화했다.
그동안 공항 내 소방방재취약구역이었던 제1여객터미널 스윙게이트 전체 6개소에 신규 설치된 디지털 보안 출입통제시스템과 소방방재시스템 간 자동화 연동을 허용했다. 화재나 재난 발생 시 스윙게이트 인근의 여객과 상주직원들은 신설된 피난 대피로를 이용해 신속하게 외부로 대피할 수 있다.
이학재 공사 사장은 "이번 조치가 여객 수요가 급증하는 하계 성수기 기간 인천공항 혼잡 완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안전하고 편리한 고품질 공항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계 성수기 기간 공항 운영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