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기업 시장 참여 지원 쳬계 마련
기술 인프라 구축과 전문인력 양성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는 증가하는 국내외 원전 해체 수요에 대비해 고리1호기 해체를 시작으로 원전해체 산업을 본격적으로 육성한다고 24일 밝혔다.
시는 한국수력원자력과 협력해 고리1호기 해체공사 본공고에 공동도급과 하도급 참여 시 지역업체 배점을 명문화하며 지역기업의 안정적 시장 참여를 지원하는 체계를 마련했다.
![]() |
부산시가 해외의 증가하는 원전 해체 수요 및 산업 규모 증가 추세에 대응하고, 고리1호기 및 월성1호기 해체 추진 등 국내 해체 시장에 본격 대비하기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오고 있다. 사진은 부산시청 전경 [사진=뉴스핌DB] 2025.04.28 |
공동도급은 지역업체 출자비율 30% 이상, 하도급도 기장군 업체 30% 이상 참여를 의무화했다.
오는 25일 고리1발전소에서 현장설명회가 예정돼 있으며 8월 28일 입찰 마감 후 본격적인 해체 계약이 진행된다.
부산시는 원전해체연구소 건립과 산학연 협력, 전문인력 양성 등 다각적 지원사업을 통해 원전해체산업 자립 기반을 강화한다. 2026년 완공 예정인 연구소는 안전한 해체기술 개발과 실증 테스트베드 역할을 수행한다.
김기환 부산시 시민안전실장은 "고리1호기 해체 본공고는 부산 원전기업에 실적 축적의 기회를 제공하며 550조 원 규모 세계 원전해체 시장 진출의 초석이 될 것"이라며 지역기업의 적극 참여를 당부했다.
이와 함께 부산시는 원전현장 경험을 갖춘 지역기업 육성에 집중, 대형 폐기물 해체 사업 참여 시 우수 역량을 발휘할 수 있도록 산학연 긴밀한 협력을 지속할 방침이다.
부산은 원자력 및 원전해체를 중점산업으로 지정, 정부와 함께 산업융복합단지로 육성하면서 원전 해체산업 거점 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