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와 인터넷 투자 집중도 '최고'
소프트웨어와 에이전시는 심리 저조
엔비디아 10점, 테슬라는 3점 최하
알파벳 결산 뒤 주가 상승→하락 예상
이 기사는 7월 23일 오전 09시0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대형 기술주의 본격적인 '결산 시즌'을 앞두고 골드만삭의 트레이더들이 관련 업종에 대한 투자자들의 포지션 현황을 분석했다.
골드만삭스의 피터 바틀렛과 피터 캘러한 트레이더들은 보고서를 내고 TMT(기술·미디어·통신) 업종 내, 그리고 대형 기술주 개별 포지션 현황을 점검했다.
관련 보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업종별 포지션
1. 반도체
관련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TMT 업종에서 투자 집중도가 가장 높은 부문은 반도체다. 반도체주가 '인공지능(AI) 테마'의 순수 투자처로 여겨지면서 롱 온니 펀드, 헤지펀드, 개인투자자 등 모든 유형의 투자자가 관련주를 보유 중이라고 한다.
2. 인터넷
인터넷은 두 번째로 높은 집중도를 보인 것으로 파악됐다. 골드만삭스는 이 업종에 대해 올해 성과 면에서 주목할 만한 '종목'을 배출했다면서도 다만 투자하기에 까다로운 국면이 됐다고 판단했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장기적인 성장 스토리는 여전히 견고하지만 밸류에이션은 높아진 상태라 투자자들이 양자 사이에서 시각 균형을 맞춰야 하는 상황에 직면했다고 했다.
3. 통신·미디어
통신·미디어의 집중도는 중간 수준으로 평가됐다. 일부 종목은 헤지펀드 업계에서 매수 추천 빈도의 상승이 관찰됐는데 월트디즈니(DIS), AT&T(T), 포뮬러원(FWONK), 워너브로스디스커버리(WBD), 폭스(FOXA), TKO그룹(TKO), 라이브네이션(LYV) 등이 관련 종목으로 거론됐다.
골드만삭스는 통신·미디어 관련주가 헤지펀드 업계에서 투자 비중의 증가가 감지되고 있다고 했다.
4.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는 비교적 낮은 집중도를 보인 것으로 조사됐다. 마이크로소프트(MSFT)나 오라클(ORCL) 같은 최상위 기업을 빼면 전반적으로 투자심리의 악화 지속이 관찰된다고 했다. AI가 기업용 소프트웨어 사업에 미칠 장기적 영향을 두고 불확실성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판단했다.
5. IT서비스·에이전시
IT서비스·에이전시는 가장 한산한 상태로 투자심리 또한 대부분 부정적이라고 했다. 다른 기술 업종과 다르게 투자자들의 관심을 전혀 끌지 못하고 있으며 전반적으로 약세 심리가 지배적이라고 했다.
◆종목별 포지션
1. 엔비디아
대형 기술주의 개별 포지션 현황은 10점 만점(높을수록 매수 포지션 집중)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엔비디아(NVDA)가 10점으로 1위를 기록했다. 다음 달 27일 공개되는 결산 발표에서 가이던스 상향이 예상되고 이를 계기로 실적 추정치도 올라갈 것으로 전망됐다.
2. 마이크로소프트
마이크로소프트(MSFT)는 9점으로 2위다. 골드만삭스는 마이크로소프트에 대해 주가가 지난 18개월 간의 횡보세에서 확실하게 벗어났다며 시가총액 4조달러에 근접한 점을 거론했다.
이어 생성형 AI와 퍼블릭 클라우드, SaaS 도입 등 주요 장기 추세에서 유리한 위치에 있고 관세 염려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전하다고 했다.
3. 메타
메타(META)는 8.5점으로 3위다. 골드만삭스는 메타에 대해 최근 몇 주 동안 경계심이 약간 증가했다며 광고 사업 환경은 여전히 강하고 AI 활용을 통해 효율성을 개선하고 있지만 채용 확대와 오프밸런스시트(부외계상) 데이터센터 투자로 인해 ROI(투하자본수익률) 사안이 다시 부각되고 있다고 했다.
![]() |
미국 뉴욕증권거래소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통신] |
4. 아마존
아마존(AMZN)은 8점으로 4위다. 골드만삭스는 아마존에 대해 올해 성과가 상대적으로 부진한 종목이라며 관세 불확실성과 제프 베이조스 회장의 지분 매각, AWS의 하반기 성장률 논쟁에 직면한 상태라고 했다.
5. 브로드컴
브로드컴(AVGO)도 8점으로 평가됐다. 골드만삭스는 브로드컴에 대해 엔비디아의 뒤를 잇는 테마주 인기를 누리고 있다며 밸류에이션을 제외하면 펀더멘털 스토리에는 큰 논쟁이 없다고 했다.
6. 알파벳
알파벳(GOOGL)은 6.5점으로 중간 수준으로 평가됐다. 골드만삭스에 따르면 올해 여러 차례 'AI 염려' 국면에서 상당한 매물이 나온 상태로 롱 온니나 롱/숏 전략을 구사하는 기관투자자 사이에서 모두 상당한 '비중축소' 상태라고 했다.
조만간 있을 실적(23일 발표) 반응에 대해서는 공표 뒤 '주가 상승 후 하락'이 컨센서스라며 다음 달 미국 법무부의 판결이 주가 상승을 제한할 잠재적 요인이라고 했다.
7. 애플
애플(AAPL)은 4점으로 조사됐다. 다른 대형 기술주와 비교해 자금흐름, 포지셔닝 등의 면에서 저조한 투자심리가 관찰됐다.
골드만삭스는 뮤추얼펀드의 최대 비중축소 종목이자 헤지펀드의 인기 매도 종목 중 하나라며 분기 결산 발표에서의 실적은 컨센서스를 상향할 것으로 예상되나 경쟁력을 둘러싼 장기 불확실성은 그 어느 때보다 높다고 했다.
8. 테슬라
테슬라(TSLA)는 3점으로 최하위다. 골드만삭스는 이달 앞서 발표된 테슬라의 분기 출하량이 38만4000대로 예상보다는 양호했다면서도 다만 연간 재무 가이던스가 하향되고 종전의 출하량 가이던스가 아예 포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어 양호한 인도량은 마진 희생을 통해 달성됐을 가능성이 있어 현재 월가의 매출총이익률 컨센서스 16.6%에는 약간의 리스크가 있다고 했다.
한편 골드만삭스는 미국 주식시장에서의 기술주의 집중도가 '닷컴버블' 수준까지 상승한 가운데 시세 변동성은 지나치게 낮은 수준이 기대되고 있어 우려가 된다고 했다.
관련 분석에 따르면 S&P500 시가총액에서 IT 업종의 비중은 약 34%로 1999~2000년 닷컴버블 당시와 맞먹는다. 관련 업종의 시가총액만 약 18조5000억달러로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의 전체보다 크다고 한다. 또 현재까지 S&P500 기술주의 실적발표일 내재 변동성은 평균 4.7%로 20년 만에 최저치라고 했다.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