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무 자동화 90%·생산성 30% 목표
하반기 AI경진대회 열어 성과 확산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에코프로가 인공지능(AI) 경영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주사에 AI혁신실을 두고 가족사들에 AI 도입을 장려해 제조원가를 줄이고 연구개발 효율을 높일 계획이다.
15일 에코프로에 따르면 최근 조직개편에서 기존 디지털전환실을 확대해 AI혁신실을 만들었다. AI 전문가를 전면에 배치해 제조 비용을 줄이고 연구개발 역량을 키워 어떤 환경에서도 살아남는 기업을 세우겠다는 전략이다.
![]() |
송호준 에코프로 대표 [사진=에코프로] |
AI혁신실은 그룹의 AI 전환을 이끄는 컨트롤 타워다. 가족사 AI 시스템 도입을 퍼뜨려 제조, 연구, 사무 전반에 AI를 심는다. 생산설비와 공정에 AI를 넣어 자동화하고 협업으로 의사결정과 품질 수준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현장 핵심 인력과 국내외 AI 전문기업과도 손잡는다.
사무 부문은 생성형 AI와 업무 자동화로 AI 도입 비율 90% 이상을 잡았다. 제조와 품질은 AI 분석 시스템을 활용해 생산성을 30% 높이는 목표를 세웠다. 연구개발은 실험 자동화로 효율을 30% 이상 끌어올릴 계획이다.
에코프로는 작은 성공을 쌓아가는 게 중요하다고 보고 올해 하반기 AI경진대회를 열어 부문별 AI 혁신 사례를 공유하고 포상한다.
송호준 에코프로 대표는 최근 경영회의에서 "AI를 업무 동반자로 삼아 전사에 AI 마인드와 체계를 심어야 어떤 외부 변수에도 살아남는다"며 "단기적으로 가격은 낮추고 품질은 높이려면 AI를 제조와 연구개발에 깊이 넣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
에코프로 사내홍보게시판 에코톡톡에 올라온 AI 전문매체 대표의 기고 글 [사진=에코프로] |
에코프로는 정부의 'AI 자율제조 국책과제'도 수행 중이다. 공정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해 오류를 미리 막고 설비를 자동 제어해 품질을 높이는 게 목표다. 이를 통해 양극재 제조 현장에 AI 품질 예측 시스템을 깔고 로봇과 설비를 AI로 관리해 생산성을 높일 전망이다.
에코프로는 사내 홍보채널 '에코톡톡'에 AI 전문가 글을 싣고 AI 혁신의 필요성을 알렸다. 글에서는 AI가 연구개발을 바꾸고, 제조 수율과 사후 분석, 수요예측, 리사이클링 영상 분석까지 바꿀 수 있음을 설명했다. AI를 기술이 아닌 문화로 바라보는 시각도 강조했다.
s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