숏폼 시나리오 작성 서비스 '뤼튼테크', 투자 유치 1위
콘텐츠 스타트업, 최근 5년간 누적 연구비 5139.3억
전 세계 7할이 쓰는 숏폼...K-스타트업 '큰장' 열렸다
숏폼(Short-form) 콘텐츠는 단순한 영상 트렌드를 넘어 유통 산업 전반을 뒤흔드는 게임체인저(Game Changer)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유튜브, 틱톡 등 글로벌 플랫폼은 짧고 몰입도 높은 콘텐츠에 상품 탐색, 신뢰 형성, 결제 전환까지 아우르는 수직통합 구조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AI 기반의 추천 알고리즘, 자동 영상 생성 기술, 개인화 마케팅 등 첨단 기술과 결합한 '숏폼 커머스'는 구조적 혁신이자, 플랫폼 주도권 경쟁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국내 플랫폼과 유통 기업들도 숏폼을 전면에 내세운 전략을 강화하고 있으며, 글로벌 주도권을 놓고 펼쳐지는 산업 간, 플랫폼 간 경쟁이 한층 더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뉴스핌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숏폼 커머스의 산업적 위상과 변화 양상을 입체적으로 조망하고, 글로벌 플랫폼의 전략 및 국내 기업의 대응, 정책·제도적 과제까지 다층적으로 진단하고자 합니다.
[서울=뉴스핌] 이석훈 기자 = 한류 콘텐츠가 숏폼을 통해 세계로 뻗어나가면서, 인공지능(AI) 영상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에 대한 해외 투자자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도 관련 스타트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는다는 방침이어서 콘텐츠 스타트업에 '큰장'이 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17일 스타트업 투자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더브이씨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가장 많은 금액을 투자받은 곳은 AI 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다. 지난 3월 830억원 규모의 시리즈B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는데, 해당 라운드에는 미국 벤처캐피탈(VC)인 굿워터캐피탈, 미국 사모투자회사 비알브이캐피탈매니지먼트 등 다양한 국적의 해외 투자자가 참여했다.
[숏폼 커머스] 글싣는 순서
1. "20초의 승부"…이커머스 판도 흔든다
2. 거대한 트렌드, 글로벌 빅테크 수직 통합 전략
3. 숏폼은 콘텐츠로 끝나지 않는다…유튜브·틱톡, '커머스'로 진격
4. 네이버·카카오도 가세…AI 기술 결합한 숏폼 전략
5. "新 실크로드 열렸다"…숏폼 타고 세계로 뻗는 K-스타트업
뤼튼테크놀로지스는 AI기반 검색 엔진 서비스 '뤼튼'을 운영하는 기업이다. 이중 뤼튼AI 서포터는 숏폼 등 영상 시나리오 제작을 돕는다. 사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영상 주제나 예상 시청자를 작성하면 자동으로 초안을 만들어주는 방식이다.
긴 영상을 숏폼으로 자동 생성하는 '젠시'를 운영하는 스튜디오랩도 지난 2월 프리-A 라운드 투자를 유치했는데, 일본 VC인 SBI인베스트먼트로부터 33억원을 투자받았다.
정부도 해외로 뻗어나가는 콘텐츠 관련 스타트업에 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지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콘텐츠 스타트업의 국가 연구개발(R&D) 누적 연구비는 5139억3000만원이었는데, 이는 전체 20개 분야 중 두 번째로 많은 수치다. 연구개발 수행 기업 수도 211개로 전체 5위를 기록했다.
![]() |
[사진=더브이씨] |
◆ "K-콘텐츠 수출에는 숏폼이 제격"...영상 제작 스타트업 수요 '급증'
이처럼 콘텐츠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는 스타트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은 숏폼을 통한 홍보 효과가 높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한류 시장 규모는 약 760억달러에 달하며, 2030년에는 2000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분야도 음식·뷰티·패션 등 장르가 다양해지고 있다.
숏폼 이용률도 가파른 상승세다. 지난해 기준 글로벌 숏폼 시장 규모는 약 400억 달러(한화 약 52조원)으로, 향후 연평균 60% 성장이 예상된다. 유튜브 쇼츠(약 25억명), 인스타그램 릴스(약 20억명), 틱톡(약 16억명) 등 주요 플랫폼 이용자 수만 합산해도 전 세계 인구의 4분의 3이 숏폼을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자사 상품을 홍보하고자 하는 기업들이, AI 영상 제작 플랫폼을 활용하기 시작한 것이다.
한 중소기업계 관계자는 "마케팅 자원이나 전문 인력이 제한적이기 때문에, AI 영상 제작 플랫폼을 홍보·마케팅 콘텐츠 제작 도구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며 "영상 제작을 외주로 맡길 때보다 AI 플랫폼을 활용했을 때의 비용이 적다"고 전했다.
이어 "홍보 콘텐츠 제작 주기가 짧은 편인데 AI 서비스를 통해 빠르게 제작할 수 있다"며 "특히 숏폼은 영상 제작 비용에 비해 홍보 효과가 확실해서, 앞으로도 AI영상 제작 서비스를 자주 이용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 개인 맞춤형 영상 제작 서비스도 인기...'1인 1 AI 시대' 코앞으로
기업뿐만 아니라 개인 이용자의 서비스 수요도 늘면서, 맞춤 서비스를 내놓는 스타트업도 잇따라 나오고 있다.
우선 생활형 AI를 표방하는 뤼튼테크놀로지스는 대중이 AI를 쉽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뤼튼테크놀로지스 관계자는 "원하는 이미지를 설명하면 자동으로 이미지를 제작해주는 도구도 제공하고 있다"며 "향후 소셜미디어 게시를 위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영상, 이미지 생성 도구도 출시 준비 중이다"고 설명했다.
![]() |
사진은 AI 영상 제작 플랫폼 데뷧타이(devut.ai)의 활용 예시 [사진=디오비스튜디오] |
이어 "뤼튼의 가장 큰 차별점은 매일 쓰는 전국민 AI라는 취지에 맞춰 누구나 장벽 없이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디오비스튜디오가 출시한 '뷧타이(devut.ai)'는 사용자의 영상 및 사진을 다양한 스타일로 변환해주는 서비스다. 인물, 배경, 사물, 동물 등 영상 및 이미지 내 모든 요소를 애니메이션, 3D, 게임 캐릭터 등의 색다른 스타일로 바꿔주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크리에이터 등 다양한 콘텐츠를 제작해야 하는 개인 이용자들에게 유용하다. 디오비스튜디오는 "현재는 얼굴 노출 없이 크리에이터 활동을 원하는 분들이나, 다양한 콘셉트와 연출을 시도하고자 하는 개인 크리에이터 분들께서 활발히 데뷧타이를 활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stpoemseo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