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과 김민석 국무총리는 7일 오찬을 겸한 주례 회동을 갖고, 국정 운영과 업무 조정 방안 등을 논의했다. 김 총리는 사회적 갈등 의제 해결과 장기 의제 발굴 등을 포함해 대통령이 지시·위임하는 사항을 중심으로 주업무를 조정해 집행해 나가기로 했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대통령이 제시한 국정 방향 후속 점검, 신규 및 장기 의제 발굴, 사회적 갈등 의제 해결, 행정부 및 국정 상황 점검을 국무총리실의 중심 과제로 삼고, 대통령 지시사항까지 포함해 전담하겠다고 국무총리가 보고했다"고 설명했다.
국무회의 진행 방식에 대해서는 현재와 같은 대통령 주재, 국무총리 사회 방식이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 |
[서울=뉴스핌] 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29회 국무회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이재명 대통령은 국무회의에서 31.8조 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안을 의결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05 photo@newspim.com |
우 수석은 "지금까지도 국무회의는 대통령이 주재하고 국무총리가 사회를 보는 형태로 업무가 분장돼 왔으며, 특별히 대통령의 해외 순방이나 긴급 결정이 필요한 상황이 아닌 이상 이러한 역할 분담은 앞으로도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통령 부재 시에는 부득이하게 총리가 국무회의를 주재할 수 있다고 부연했다.
업무 분장 방식에 대한 김 총리의 인식도 전해졌다. 우 수석에 따르면, 김 총리는 과거 대통령과 총리가 각자 분야를 분리해 담당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결과적으로 국정 최고 책임자가 대통령이기 때문에 분야를 나눠 진행하는 것은 원활하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고 평가했다.
이어 "이보다는 대통령 지시사항 이행, 사회 갈등 선제적 조정, 장기 의제 발굴 등에 총리실이 주력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의견을 밝혔다고 전했다.
우 수석은 "일차적인 갈등 해결을 위해 국무총리가 대화를 시도하고, 이후 주요 정책 결정 사항은 대통령과 상의해 최종 방안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park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