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의 인도 생산능력 확대에 어려움 더할 것"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애플의 최대 공급업체인 대만 폭스콘이 인도에 파견된 중국인 직원들에게 중국으로의 철수를 지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아이폰 생산기지를 인도에 빼앗기지 않겠다는 중국 정부의 압박에 따른 조치로 풀이되며, 애플의 인도 생산 확대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게 됐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2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익명의 소식통들은 폭스콘이 약 두 달 전부터 인도 남부 아이폰 공장의 중국인 엔지니어 및 기술자 대부분에게 귀국을 종용했다고 매체에 전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300명 이상의 중국인 직원이 인도를 떠났고, 현재는 주로 대만 출신 지원 인력만 인도에 남아 있다고 소식통 중 한 명은 설명했다.
폭스콘이 중국인 직원을 철수한 사유는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중국 당국이 올해 초 규제 기관과 지방 정부에 인도와 동남아시아 등지로의 기술 이전 및 장비 수출을 제한하도록 압박한 것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블룸버그는 분석했다.
중국인 직원 철수가 인도에서 생산되는 아이폰 제품 품질에는 영향을 주지 않겠지만 인도 공장 조립 라인 효율성에는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소식통은 지적했다. 현지 인력 교육과 기술 이전을 지연시켜 현지 생산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다며, 특히 인도에서 신제품 아이폰 17 생산을 늘리겠다는 애플 계획에 맞춰 폭스콘이 현재 인도 남부에 새로운 아이폰 공장을 건설 중인 가운데, 이번 직원 철수가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중국인 관리자는 폭스콘 인도 직원 교육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 왔다.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는 중국이 아이폰 생산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것에 대해 단순히 비용 우위 때문이 아니라며 중국 인력의 기술과 전문성을 높이 평가한 바 있다.
애플 측은 관련 논평을 거부했고, 폭스콘도 입장 확인 요청에 응답하지 않았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 |
폭스콘 생산라인에서 근무하는 직원 [사진=블룸버그] |
폭스콘은 중국에 대규모 아이폰 생산공장을 갖고 있고, 전 세계에 판매되는 아이폰의 약 80%가 중국에서 생산돼 왔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국의 봉쇄 조치로 현지 아이폰 생산공장 가동에 차질을 빚은 뒤 애플은 공급망의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시작했다. 그 과정에서 인도가 중국의 뒤를 이은 생산 거점으로 부상했고, 이후 미중 간 무역 갈등 격화 속 집권 2기를 맞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해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하면서 인도 내 생산능력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인도는 전 세계 아이폰 생산량의 약 20%를 담당하고 있다. 애플은 내년 말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아이폰 전량을 인도에서 생산한다는 계획을 밝힌 바 있다.
다만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애플의 계획에 노골적으로 불만을 드러냈고, 중국 역시 기술과 숙련 인력·전문 장비의 중국 이탈을 막고 있어 인도의 아이폰 생산 확대가 순조롭지 않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한편 블룸버그는 중국과 인도 관계가 경색돼 있음을 언급했다. 국경 분쟁 이후 악화한 관계의 개선을 위해 양국 정부 고위급 회담이 잇달아 열리고 있지만 양국 간 직항편은 아직 재개되지 않았다며, 인도는 중국인에 대한 비자 발급 제한 및 틱톡 등 중국 앱 사용 금지 조치를 유지하고 있고, 중국 또한 다른 나라와 달리 인도에 대해서는 비료 제품의 수출을 여전히 금지하고 있다고 매체는 전했다.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