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화산재 피해 경감 위한 전문가 간담회 개최
각 부처별 추진 중인 세부 대책과 협력 체계 강화
지산 폭발 시 200km 영향권…한국 피해는 제한적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일본 언론에서 후지산 폭발 가능성이 제기됨에 따라 정부가 사전 검토에 나섰다.
행정안전부는 28일 오후 일본 후지산의 분화 가능성에 대비한 기상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화산방재전문위원회 위원 등과 '화산재 영향 분석 및 피해 경감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 |
일본 후지산[뉴스핌DB] |
이번 간담회는 일본 언론에서 후지산 폭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가운데, 실제 분화가 발생하면 우리나라에 미칠 잠재적인 영향을 사전에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전문가들은 후지산 폭발 대비 국내 영향 분석과 정부가 추진한 '화산재 피해 경감 종합 대책' 정책 현황을 공유하고 편서풍의 영향으로 일본의 상층 기상에는 주로 서풍이 발생하고 있어 우리나라에 직접 미치는 가능성은 적다는 분석을 했다.
일본 내각부가 중앙방재회의에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후지산 분화 시 화산재 퇴적으로 인한 재해 영향 범위는 약 200km로 추정되며 우리나라는 후지산과 800km 이상 떨어져 있어 실제 피해는 크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한편, 정부는 백두산 화산 활동 가능성에도 주목하고 있으며, 2017년에 관계 기관이 함께 '화산재 피해 경감 종합 대책'을 수립한 바 있다. 화산 감시 체계는 물론 교통, 환경, 산업 시설, 농축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대응 체계가 마련되어 있다.
국토교통부는 항공과 철도 운행, 공항 및 도로 시설에 대한 대응을 주관하고, 환경부는 상수원과 토양 및 대기 오염 대책을 담당하며, 산업통상자원부는 전력, 가스, 반도체 등 주요 산업 기반 시설의 피해 경감을 위한 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그 외에도 농·축산물, 수산물 및 임업 시설 대책과 의약품 및 식품 관리 방안, 화산재 관측 고도화 등 소관 부처별로 추진 중이다.
![]() |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정부는 일본 후지산의 분화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화산재 영향 분석 및 피해 경감을 위한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기상청, 국립재난안전연구원, 화산방재전문위원회 위원들이 참여해 후지산의 위험성을 분석하고 재난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방법에 대해 논의했다[화산재 발생 시 국민 행동요령=행안부 제공]kboyu@newspim.com |
정창성 행안부 자연재난대응국장은 "과거 일본 화산 분화로 인해 국내에 영향을 미친 사례는 없다"면서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국민들은 화산재 낙하 시 행동 요령을 숙지해 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