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아리바이오는 28일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후보물질 AR1001의 뇌 아밀로이드 혈관병증(CAA) 관련 효능을 입증한 전임상 연구 결과가 국제학술지 프런티어스 인 에이징 뉴로사이언스(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에 게재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아리바이오 뇌과학연구팀과 한림대학교 연구진이 공동 수행했다. CAA를 동반한 알츠하이머병 모델에서 AR1001이 뇌혈관 안정화, 염증 억제, 인지기능 회복 등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CAA는 알츠하이머 환자 절반 이상에서 동반되는 질환으로, 아밀로이드 단백질이 뇌혈관 벽에 침착돼 혈관 파열이나 출혈 위험을 높인다. 기존 항체 주사 치료제는 이와 같은 환자군에서 뇌 부종(ARIA-E)이나 출혈(ARIA-H) 등 중증 부작용 발생률이 높아 미국 식품의약국(FDA)과 유럽의약품청(EMA)은 블랙박스 경고와 함께 정기적 자기공명영상(MRI) 모니터링을 의무화하고 있다.
![]() |
아리바이오 로고. [사진=아리바이오] |
연구진은 알츠하이머 발병 유전자(ApoE4)를 탑재한 동물모델에 AR1001을 투여한 결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 ▲혈관 신경단백질(CLN-5) 발현 증가 ▲혈관 장벽(BBB) 누수 억제 ▲해마 내 아밀로이드 침착 감소 및 인지기능 회복을 확인했다. 이는 AR1001이 CAA 병태에 직접 작용해 병리적 진행을 완화할 수 있는 경구 치료제임을 보여주는 결과다.
AR1001은 포스포다이에스터레이스 5형 효소(PDE5) 억제제 기반의 경구용 치료제다. 항체 주사제와 달리 독성 단백질을 급격히 제거하지 않고 ▲뇌혈류 개선 ▲혈관 안정화 ▲염증 억제 ▲신경세포 보호 등 다중 기전을 통해 병태를 점진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재 AR1001은 미국, 유럽, 한국 등 13개국에서 1450명을 대상으로 한 글로벌 3상 임상(POLARIS-AD)을 진행 중이다. 목표 환자 수 1150명을 조기 초과 달성하며 등록을 완료했다. 2026년 상반기 중 톱라인 결과 발표가 예정돼 있다.
정재준 아리바이오 대표는 "AR1001은 CAA를 동반한 고위험 알츠하이머 환자에게도 적용 가능한 유의미한 치료 대안으로, 기존 항체 주사제의 부작용 한계를 보완할 수 있을 것"이라며 "추가 적응증 확대 및 후속 임상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AR1001은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글로벌데이터로부터 '가장 유망한 차세대 알츠하이머병 치료제'로 선정된 바 있다. 아리바이오는 상장기업 소룩스와의 합병을 추진 중이다. 합병 기일은 오는 8월 1일이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