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 용인특례시는 도서관, 복지시설, 체육센터 같은 공공건축물 하자 발생을 줄이기 위한 'Go품질·Stop하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28일 시에 따르면 이번 사업으로 공공건축물 건축 과정을 기획·설계·시공·준공 단계로 나눠 맞춤형 개선 방안을 적용하기로 했다.
![]() |
용인시 청사 전경. [사진=뉴스핌 DB] |
기획 단계에선 관련 부서 간 협업을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구성해 여러 부서 의견을 반영해 실효성 있는 건축 계획과 추진력을 동시에 확보할 예정이다.
설계 단계에선 건축·구조 분야 중심 자문 말고도 설비 분야 전문가를 추가로 참여시키기로 했다. 또 공공건축가 자문을 설계 전 과정에 걸쳐 확대 적용해 전문성 있고 균형 잡힌 설계안을 마련한다.
핵심 과제인 시공 단계에선 시공 품질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사후까지 책임질 만한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시는 '공공건축 공사 영상기록 관리 매뉴얼'을 자체 제작해 다음 달부터 공사비 100억 원 이상인 공공건축 현장에 '영상 기록관리 시스템'을 도입한다.
주요 공정과 시공 과정을 촬영한 영상은 하자가 발생할 경우 책임 소재를 규명하거나 유지 관리 자료로 활용할 뿐 아니라 현장 안전 관리에도 효과를 거둘 전망이다.
준공 단계에선 준공 이후 발견하는 하자를 최소로 줄이고자 공동주택 품질검수단을 공공건축에도 도입한다.
골조공사를 마무리할 때, 준공 2개월 전, 준공 3개월 뒤에 건축·시공·전기 분야 전문가가 현장 점검으로 시공 상태를 확인한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