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초고령사회 대응 종합계획' 발표
어르신 통합돌봄서비스·치매안심마을 확대
공공·민간일자리 33만개 창출, 재취업 지원
맞춤형 시니어주택 2만3000호 공급 계획
어르신 전용 콜택시·보행신호 시스템 개선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앞으로 서울에서는 어르신들이 가족과 이웃 가까운 곳에서 '좋은 돌봄'을 받을 수 있도록 '실버·데이케어 센터'가 확충된다. 45세 이상을 대상으로 치매 예방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치매 중증도에 맞춘 돌봄을 받을 수 있는 전문 데이케어센터도 확충한다.
또 매년 공공·민간일자리 33만개를 창출하고 '시니어 취업사관학교'를 개설해 어르신들의 재취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여가·문화 활동을 위한 공간을 확대하고 맞춤형 시니어주택도 2만3000호 공급해 어르신들이 안정적이고 평안한 삶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한다.
서울시는 26일 이런 내용을 담은 초고령사회 대응 종합계획 '9988 서울 프로젝트'를 발표했다. 이 계획은 어르신들의 안정적인 돌봄, 노후생활 보장, 여가, 고령친화적 도시 환경 조성의 4대 분야 10개 핵심과제로 구성되며 오는 2040년까지 중장기적으로 추진한다. 내년 4900억원을 시작으로 2030년까지 5년간 총 3조4000억원이 투입된다.
![]() |
어르신복지종합계획 [자료=서울시] |
서울시는 지난 4월 기준 인구 19.8%(184만명)가 65세를 넘어섰다. 2040년까지 65세 이상이 3명 중 1명(약 31.6%)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서울시는 초고령사회 진입을 코앞에 두고 어르신이 행복한 도시 조성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에 돌입했다.
무엇보다 올해부터는 어르신 누구나 한 번의 신청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종합적으로 받을 수 있는 '원콜 통합돌봄서비스'가 가동된다. 올해 어르신 중심의 '통합돌봄지원센터' 7곳을 시범 운영하며 내년까지 전체 자치구로 확대할 예정이다. 돌봄 상담창구도 내년 451곳에서 2030년까지 1000곳으로 늘린다.
우선 시는 서울형 건강관리 플랫폼 '손목닥터 9988'에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치매안심마을'과 같은 지역 돌봄 시스템을 강화할 계획이다. 동네 병·의원과 연계한 '동네주치의'를 활성화하고 '치매안심병원'도 올해 시립 서북병원 1곳에서 강남권역을 추가해 총 2곳을 운영한다.
경제적 자립을 위한 취업 지원 방안으로는 어르신 적합 공공·민간 다양한 일자리를 발굴하고, 금융교육을 통해 안전한 자산관리도 지원할 예정이다. 또 어르신들의 여가문화를 활성화하기 위해 다양한 프로그램과 평생교육 기회를 확대하고, 파크골프장 등 운동 시설을 늘려 건강한 노후를 도모한다.
![]() |
어르신복지종합계획 [자료=서울시] |
고령친화적인 도시환경 조성을 위해선 어르신이 편리하게 거주할 수 있는 주택 공급 방안을 마련하고, 고속 교통체계를 개선할 예정이다. 디지털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어르신을 위해 전화로 택시배차를 요청하는 '동행 온다콜택시'를 개발, 하루 약 1만 콜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한다. 교통약자 맞춤형 길 안내 앱 '서울동행맵' 기능도 단순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어르신 밀집 지역에 방호울타리, 스마트 횡단보도 등을 설치해 사고를 예방하고 보행신호 시간을 1m/초에서 0.7~0.9m/초로 연장한다. 보행자 감지 시 최대 10초간 연장되는 최첨단 보행신호 시스템 도입도 늘린다.
시는 전국 처음으로 '요양시설 통합예약시스템'을 탑재한 종합포털 '어르신 정보몽땅' 누리집을 개설해 어르신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한 곳에서 제공한다.
오세훈 시장은 "어르신이 존중받고 행복한 삶을 누려야 서울시와 대한민국의 미래도 행복할 수 있고 어르신들의 편안한 노후가 곧 우리의 미래"라고 말했다.
이어 "초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현재 어르신들이 지역 사회의 체계적인 돌봄을 받으며 건강하고 품위 있게 노후를 이어나가 서울시민 모두가 '99세까지 88(팔팔)하게' 지내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