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락‧밑반찬 매주 7일 분 전달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저소득층 60세 이상 어르신 1000여 명에게 따뜻한 식사를 제공하는 '서울 밥상' 사업을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8일 밝혔다.
지난해에는 취약계층 어르신 약 3만3000명에게 무료급식을 지원했으며, 매년 예산을 늘려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지원 규모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한정된 조리 공간과 운영 인력 부족으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 |
서울시청 전경 [뉴스핌DB] |
서울시는 급식 지원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고 어르신들에게 균형 잡힌 '하루 한 끼'를 제공하기 위해 '서울 밥상' 사업을 도입했다. 해당 사업은 지난해 9월 실국장 대상 '창의연찬회'에서 제안돼 최우수상을 수상한 정책으로, 실제 사업으로 이어졌다는 점에 의미를 가졌다.
'서울 밥상'은 시와 계약한 민간 조리업체가 대량으로 도시락과 밑반찬을 만들어 거점 수행기관에 공급하면, 이들 기관이 어르신의 집으로 음식을 배송하는 시스템이다. 별도 공공 조리공간·인력 확보 없이도 민간업체에서 대량으로 식자재를 구매하고 조리해 동일 비용으로 고품질의 급식을 제공하는 점이 특징이다.
시는 '서울 밥상'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복지관, 대한노인회 지회, 돌봄 통합센터 등 33개소의 거점 수행기관을 선정했다. 음식을 조리할 민간 조리업체로 지난 3월 일반 경쟁 입찰을 통해 ㈜현대그린푸드도 선정했다.
민간 조리업체를 통한 서울밥상 시범 서비스는 오는 9일부터 8개 자치구에서 845명의 저소득 어르신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매주 민간업체에서 조리된 도시락 7일분(주 5일 배송)과 밑반찬 7일분(주 2일 배송)이 제공되며 명절이나 어버이날, 노인의 날 등에는 특식이 제공될 예정이다.
지원대상은 생계급여 수급자 기준에 부적합해 급식을 받지 못하는 독거 어르신과 기초생활수급·차상위 계층의 어르신들이다.
한편 지난 1월부터 '민간 조리업체' 외에도 종교시설이나 관내 경로식당 등의 유휴 공간을 조리 기관으로 활용하는 '유휴공간 활용형' 사업을 통해 강동구 230명의 어르신에게 도시락을 배달하고 있다.
서울밥상은 식사 제공뿐만 아니라 도시락·반찬 배달을 기존 '공공 어르신 일자리' 사업과 연계해 어르신들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전망이다. 배달 과정에서 어르신들 간의 안부 교환이 이루어져 정서적인 돌봄 효과도 기대된다.
아울러 어르신들이 모여 식사할 수 있도록 '서울 마음 편의점', '1인가구 지원센터', '시니어클럽' 등 다양한 공간을 마련해 어르신의 고립과 외로움을 줄여줄 계획이다. 시는 올해 하반기 '서울 밥상' 사업에 참여할 자치구를 추가 모집하고, 성과 평가 후 내년에는 전체 자치구로 확대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윤종장 복지실장은 "추가 공간 확보 없이 안정적으로 급식을 제공할 수 있는 서울 밥상을 통해 취약계층 어르신들에게 영양가 높은 급식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