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임금 반영 문제, 노사 간 합의 어려움 지속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 창원시는 파업절차에 돌입한 시내버스노동조합가 전날 파업 찬반투표에서 85.6%의 찬성으로 쟁의권을 확보했다고 24일 밝혔다.
![]() |
창원 시내버스[사진=창원시] 2025.01.08 |
이에 따라 27일 2차 조정이 결렬될 경우, 28일 첫차부터 창원 시내버스의 95%에 달하는 669대가 운행을 멈추게 된다.
이번 파업 위기는 2025년 임금·단체협상에서 노사가 통상임금 반영 등 핵심 쟁점에 대해 이견을 좁히지 못한 데서 비롯됐다.
사측은 대법원 판결에 따른 임금 상승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해 임금체계 개편을 주장하고, 노측은 통상임금과 임금협상은 분리해 진행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창원 시내버스 노사는 지난해 12월부터 7차례 교섭과 조정을 이어왔으나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이번 사태는 서울, 부산, 울산, 경기, 제주 등 11개 지역 버스노조가 동시에 조정에 들어가 전국 공동파업 가능성도 커진 상황에서 벌어졌다.
시는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시민 불편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마련하고 임시노선 운행 등 대체 방안을 준비 중이다.
이종근 교통건설국장은 "노사 간 입장차가 크고, 또다시 파업이 발생하면 시민 불편이 불가피하다"며 "적극적으로 교섭을 유도하고,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