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개 기관 16명 전문가 참여…과학적 분석 진행
초기 대응 체계 분석 통해 구조적 취약점 파악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소방청은 지난 17일 광주의 타이어 공장에서 발생한 화재의 원인 규명과 피해 규모 분석을 위해 '중앙화재합동조사단'을 구성하고 운영에 들어갔다고 22일 밝혔다.
8개 기관 16명으로 구성된 조사단은 다음 달 20일까지 한 달 동안 다양한 현장 감식과 과학적 분석을 통해 대형 제조 시설에서 발생한 화재의 발화 원인과 피해 경로, 구조적 취약성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할 예정이다.
![]() |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광주 타이어공장 화재 현장에서 중앙화재합동조사단이 현장을 살펴보고 있다[소방청 제공] kboyu@newspim.com |
이번 조사에는 소방청, 국립소방연구원, 방재시험연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등이 참여했으며 민간 분야 공학 박사 및 화재·안전 분야의 대학교 교수진이 전문가 자문위원으로 참여해 조사의 전문성과 객관성을 높였다.
특히 최초 발화 가능성이 제기된 특정 기기에 대해서는 국립소방연구원이 재현 실험을 주관해 인화 가능성을 과학적으로 검증한다. 이 재현 실험은 조사단 활동과 병행하여 진행되며, 결과는 최종 조사 보고서에 반영된다.
조사단은 화재 발생 시점의 전기적 및 기계적 작동 상태 분석, 연소 확대 경로 및 물적 피해 범위 파악, 방화 가능성 검토, 초기 대응 체계의 적정성 평가 등 다양한 항목을 통해 화재 전 과정을 면밀히 살필 예정이다.
이 밖에 화재로 인한 인적·물적 피해를 비롯해 유해 물질 유출 가능성 등 2차 피해까지 종합적으로 분석해 향후 제도 개선과 보완책 수립에 활용되도록 보고서를 작성할 계획이다.
박근오 소방청 119대응국장은 "이번 조사는 단순 원인 규명에 그치지 않고, 유사 대형 화재 예방 및 제조 시설 안전 강화를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 자료로 사용될 것"이라고 강조하며, "조사 결과는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 민간에 폭넓게 공유해 실효성 있는 안전 대책 수립 근거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