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경쟁력 제고 방안 발표 이후 후속 대책 '차일피일'
공장 통폐합 세제 혜택·기업 결합 규제완화 등 구체적 지원 시급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21대 대선 선거 운동이 한창인 가운데, 국내 석유화학업계도 대선 결과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현재 국내 주요 석유화학 업체들은 업황 장기 불황에 따른 실적 부진으로 보릿고개를 넘고 있다. 업계 자발적인 사업 재편 및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지만, 세제 혜택 등 정부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여수 석유화학 단지를 찾아 석유화학 위기 해결을 강조하기도 했다. 정부도 이달 초 여수시를 '산업위기 선제대응 지역'으로 지정하고, 향후 2년간 집중 지원키로 했지만 구체적인 지원안은 대선 이후에나 나올 전망이다.
◆ 지난해 12월 경쟁력 제고 방안 발표 이후 후속 대책 '차일피일'
14일 석유화학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계엄령 이후인 지난해 12월 말 석유화학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는데, 당초 올해 3~4월쯤 후속 대책이 나올 것으로 예상됐다.
정부의 후속 대책에는 석유화학 기업 구조조정 관련 구체적인 지원 방안이 담길 것이란 기대가 컸지만, 탄핵 정국과 차기 대선 정국이 이어지며 대책 마련이 늦어지고 있다. 석유화학 업계는 지난 달 초 보스턴컨설팅그룹(BCG)과 진행한 사업재편 컨설팅을 마무리하고 결과 보고서를 정부에 제출했다.
![]() |
LG화학 여수 공장 전경 [사진=LG화학] |
정부는 지난해 말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통해 기존 범용 제품 설비 매각을 비롯해 친환경 소재, 스페셜티(고부가가치) 산업 재편을 유인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를 통해 석유화학 산업의 과잉 설비 문제를 해결하고 구조적인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현재 국내 석유화학 산업은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 범용 제품 비율이 높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진다. 이에 국내 석유화학 업체는 기존 범용 제품 설비와 나프타분해설비(NCC) 매각 및 통폐합을 추진 중이다. 지난해부터 LG화학과 롯데케미칼, 한화솔루션 등 석유화학 '빅3'를 중심으로 해외 비주력 공장 매각 등 자발적인 사업 재편도 진행중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비주력 해외 공장 매각과 국내 공장 가동 중단 등으로 장기 불황에 따른 선제 대응 조치에 나섰지만 각 업체별 이해관계가 달라 큰 틀의 통폐합 작업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라며 "어느 당이 되는 하루 빨리 정부 차원의 대책이 나왔으면 한다"고 지적했다.
◆ 공장 통폐합 세제 혜택·기업 결합 규제완화 등 구체적 지원 시급
업계에선 공장 통폐합에 따른 세제 혜택과 사업재편을 위한 기업결합 규제 완화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시장점유율 증가로 경쟁이 제한되면 기업결합을 금지한다. 업계는 석유화학 등 위기업종에 대해선 예외 조항을 신설해야 할 것을 정부에 건의한 바 있다.
업계 다른 관계자는 "현재 국내 석유화학 구조조정은 정부와 채권금융기관이 나서 주도하고 독립적인 전문 경영인을 선임해 경영을 맡기는 형태를 고려해야 할 정도로 시급하다"며 "기업 자율에만 맡길 경우 골든타임을 놓칠 우려가 크다"고 말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