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파키스탄 충돌, 미중 관세 분쟁 이슈 속 재평가
최신 지정학적 이슈가 中 방위 산업에 미칠 영향 진단
중국 군수산업의 8대 기술적 핫이슈와 투자기회 분석
2분기 이후 중국 A주 방산섹터 투자 흐름·방향 전망
이 기사는 5월 9일 오후 3시27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인도∙파키스탄 무력충돌에 재조명① '中 방위산업' 장·단기 영향>에서 이어짐.
◆ 8대 군수산업 기술 이슈와 투자기회
중항증권 왕훙타오(王宏濤) 애널리스트는 "미중 관세 전쟁과 군사비 투입 증가는 본질적으로 과학기술 경쟁"이라면서 이러한 배경 하에서 군수산업 분야를 둘러싼 8대 기술적 핫이슈에서 투자기회가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① 군사 무인화·스마트화
최근 몇 년간 무인화와 스마트화 장비 기술이 전시 상황에서 더욱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드론이 대량으로 사용된 예가 대표적이다. 미래에는 자율 제어와 인공지능 발전에 따라 무인화 및 스마트화 장비 기술이 전투 시스템에 적극 응용될 것이며, 이는 군사 기술 발전의 트렌드로 자리잡으면서 중국도 군수산업의 변혁을 빠르게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② 차세대 전략 무기 장비의 발전
글로벌 관세 전쟁 하에서 군사 과학기술 경쟁이 치열해지고, 미국의 국방예산은 핵 억제력에 집중될 전망이다. 전세계 안보 정세가 긴장된 상황에서 중국은 2024년부터 차세대 무기 장비 연구개발을 가속화하고 있으며, 향후 '15차 5개년 계획(2026~2030)' 기간에 차세대 무기 장비 개발이 더욱 가속화되어 대량 생산 단계에 진입할 전망이다.
③ 심해 영역 군사기술 응용 가속화
중국 당국이 공개한 올해 공작(업무)보고서는 심해 과학기술을 상업용 항공우주, 저공경제(低空經濟, 유인주행 또는 무인자율주행 항공기의 저공 비행을 견인차로 하여 연계 산업의 발전을 이끌어내는 경제) 등과 함께 핵심 신성장 산업으로 꼽았다.
원양해역 제어 능력은 해양 자원 무역 안보와 관련되어 있는 만큼, 중국은 심해 안전 및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속도를 낼 전망이며, 이로 인해 심해 장비와 모니터링 네트워크가 빠르게 발전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사진 신화사 = 뉴스핌 특약] 2025년 5월 8일 파키스탄 북동부 펀자브주 라왈핀디에 발생한 인도 무인기 공습 현장 근처에 모인 군중들 모습. |
④ 관세리스크 하의 반사이익 기대 영역
관세 인상으로 인한 비용 증가가 중국의 신흥 3D 프린팅과 재활용 소재 시장의 발전을 촉진할 전망이다.
미국의 관세 정책은 중국의 업스트림 군수 소재 비용에 영향을 미친다. 비용 절감을 위해 3D 프린팅, 재활용 소재의 2차 가공 등이 군수 분야에서 핫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여기에 군수 소재 산업에서 나타나는 경량화 트렌드에 힘입어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과 같은 금속 대체 신소재 등과 연계된 산업체인의 성장성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⑤ 군수 정보기술의 국산화
첨단 군수 전자제품과 집적회로의 자주 제어가 더욱 가속화되며, 정보기술 국산화 관련 산업과 기업의 성장 모멘텀이 한층 더 커질 전망이다.
관세 분쟁 속에서 군수, 전자, 컴퓨터 분야에 대한 관심이 확대되고 이로 인해 국산 집적회로 등 기술 자립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앞선 미중 무역전쟁 과정에서 중국 정보기술 국산화 산업이 큰 성장을 이뤄냈는데, 올해 또 다시 미중 무역마찰이 빚어지며 정보기술 국산화가 한층 더 진화, 새로운 투자기회를 창출할 전망이다.
⑥ 상업용 우주 산업 경쟁 심화
관세전쟁이 촉매제로 작용하며 상업용 우주 분야의 경쟁국면이 심화, 연계 산업의 성장세가 한층 더 빨라질 전망이다. 최근 일론 머스크의 우주기업 스타링크X와 영국 원웹(Won Web)이 저궤도 위성서비스 상용화에 속도를 내는 가운데, 해당 분야에서 아직 추격 단계에 있는 중국은 위성 공중 통합화와 다양한 분야의 응용을 가속화하는데 지원 역량을 더욱 확대할 것으로 예상된다.
![]() |
[광저우 신화사 = 뉴스핌 특약] 2025년 1월 14일, 중국 남방항공 소속 C919 국산 대형 항공기가 광저우(廣州) 바이윈(白雲) 국제공항에서 이륙했다. |
⑦ 대형 항공기 기술국산화 가속화
미중 관세 전쟁 격상 이후 보잉 항공기 구매의 가성비 매력이 축소되고, 에어버스도 잠재적 영향을 받게 됐다. 대형 항공기의 기술 국산화가 가속화되면서, 기술적 우위를 확보한 산업 분야와 기업의 경쟁력이 더욱 부각되면서 빠른 성장의 기회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3년 중국 국영기업인 중국상용항공기(中國商飛∙COMAC∙코맥)가 16년의 시간을 들여 개발한 중국 최초의 민간 대형 여객기인 'C919'는 부품 국산화율이 60%에 달한다. 미국발 관세 리스크는 기술력의 완전한 독립을 유도하며 관련 핵심 부품 기업들에게 발전 기회를 제공할 전망이다.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가 공개한 중국의 무기장비 영역별 수출 데이터를 살펴보면, 2010~2014년 대비 2020~2024년 함선 수출량은 88.23% 늘었고, 방공무기장비(49.86%), 미사일(34.60%)가 증가율 기준으로 그 뒤를 이었다. 화포는 20.16%, 항공기는 0.82% 늘어 상승세를 보였으나 센서와 장갑차는 오히려 66.38%와 19.35% 둔화됐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5.09 pxx17@newspim.com |
⑧ '군사+민간' 특성 겸용 산업
관세 리스크 속에 저공경제와 로봇 분야도 발전 속도가 빨라질 전망이다. 이들 산업은 군사+민간 산업의 특징을 겸하고 있는 만큼 국방 분야에서도 주목하는 영역으로 꼽힌다.
결론적으로 이들 8대 기술적 핫이슈를 고려할 때 향후 방산 섹터에서는 ①무인 장비, 군사 스마트화, 위성 인터넷, 전자대응시스템(ECM) 등 신품질 생산력(新質生產力, 과학기술 혁신)과 관련한 새로운 영역 ②저공 경제, 민간 항공, 상업용 우주, 심해, 군사 무역, 정보 보안 등 군민 결합 영역 ③군수산업 인수합병 트렌드, 당국의 시가총액 관리 요구 하에서 투자기회가 확대될 전망이다.
<인도∙파키스탄 무력충돌에 재조명③ '中 방산주'의 2Q 투자방향>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