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5주년 노동절 맞아 메시지
"사회적 대화 제도화...전담조직 구성"
[서울=뉴스핌] 송기욱 기자 = 우원식 국회의장이 "노동이 존중받는 사회, 노동자가 차별받지 않는 사회, 노동현장이 안전한 사회, 국회가 함께 만들어 가겠다"고 밝혔다.
우 의장은 제135주년 세계 노동절인 1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자신의 자리에서 공동체와 대한민국을 떠받쳐온 모든 노동자 여러분께 축하와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며 이같이 말했다.
![]() |
사진은 지난달 25일 우원식 국회의장이 서울 여의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4.27 판문점선언 7주년 기념식에서 축사를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
우 의장은 "모든 노동은 존중받아야 한다. 그동안 여러 노력과 진전이 있었지만, '노동존중사회'를 실현하기까지는 아직 풀어야 할 과제가 많다"고 했다.
이어 "장시간 노동, 임금 격차, 노동 약자 보호 같은 과제가 여전한 가운데, 아직도 하루 평균 6명의 노동자가 산업재해로 목숨을 잃고, 지난해 체불임금은 2조원을 넘어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플랫폼 노동자, 프리랜서, 특수고용직처럼 제도의 사각지대에 놓여 있는 노동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노동기본권을 강화하기 위한 노조법 2, 3조 개정안이 두 차례 국회를 통과하고도, 대통령의 재의요구권 행사로 시행되지 못한 것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라고 덧붙였다.
우 의장은 "다가올 미래는 더 큰 변화를 예고한다. AI 기술 발전과 자동화, 저출생과 고령화, 산업의 대전환은 노동을 둘러싼 모든 것을 바꾸고 있다"면서 "변화에 대비해 '노동의 존엄'을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사회적 합의가 더 늦기 전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그동안 국회는 노동자를 대표하는 단체, 사용자를 대표하는 단체가 함께 참여하는 사회적 대화를 정례화하며 상생의 해법을 모색해왔다. 앞으로는 이를 제도화하고 전담조직을 구성해, 보다 실효성 있는 논의가 이뤄지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또 "국회부터 모범적 사용자로 거듭나겠습니다. 국회 안에서 일하는 방송작가, 수어통역사 등 비정규직 프리랜서 노동자의 실태를 꼼꼼히 살펴서, 보다 안정된 고용 환경을 마련할 계획"이라고 했다.
onewa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