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만에 일본으로 판매용 쌀 수출
뉴질랜드, 소포장 쌀 검역 완화키로
"인도 등 쌀 수출시장 다변화 필요"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한국 쌀이 35년 만에 일본으로 수출되면서 견고한 일본 쌀 시장에서 국산 쌀의 경쟁력을 증명했다.
여기에 뉴질랜드와의 소포장 쌀 검역 완화 협상까지 더해지며 'K-쌀'의 해외 시장 공략이 본격화되고 있다.
23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일본에 판매용 쌀 22톤(t) 수출을 추진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지난달 국산 쌀 2톤이 일본으로 수출됐다"며 "다음 달 10톤을 더 수출하고, 추가로 10톤을 더 수출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 |
생산된 꿈마지 쌀[사진=평택시] |
국산 쌀이 일본에 수출된 건 지난 1990년 이후 35년 만이다. 과거에도 간헐적으로 구호용이나 소량의 수출은 있었지만, 본격적인 판매용 쌀 수출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수출의 배경에는 일본 내 쌀값 급등과 한국 식문화에 대한 관심 확대가 자리하고 있다.
일본은 세계적인 쌀 소비국이자 자국 농업 보호 정책으로 인해 외국산 쌀 수입이 까다롭기로 유명하다. 그런 일본 시장에서 한국산 쌀이 판매용으로 다시 자리 잡았다는 것은 단순한 거래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
정원호 한국식품유통학회 회장(부산대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은 "일본 쌀 시장은 프리미엄 시장으로 쌀의 품질이 좋기 때문에 가격을 비싸게 받는다"며 "그런데 우리 쌀은 품질도 좋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하므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일본 수출과 더불어 국산 쌀 수출에 또 다른 '청신호'가 켜졌다.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최근 국산 소포장 쌀(25㎏ 이하)에 대해 검역 절차를 면제하기로 뉴질랜드 정부와 합의했다.
이로써 소포장 된 국산 쌀은 식물검역증명서 발급 없이도 수출이 가능해졌으며, 현지 도착 후의 수입 검역이나 훈증소독 과정도 생략된다.
검역본부는 "소포장 쌀은 도정 직후 위생적으로 포장돼 병해충 유입 위험이 낮다"며 지난 2023년부터 협의를 이어온 끝에 이 같은 결실을 맺었다고 밝혔다.
뉴질랜드 시장에서 한국산 쌀은 이미 프리미엄 브랜드로 자리 잡고 있다.
수출량은 2022년 4톤에 불과했지만, 지난해 137톤으로 약 34배 급증했다. 이번 검역 완화 조치로 인해 앞으로 수출이 더욱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 |
현재 국산 쌀은 뉴질랜드를 포함해 약 48개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이 제한적 물량이거나 특정 용도에 국한됐다.
다만 이번 일본 수출과 뉴질랜드 검역 완화는 국산 쌀이 본격적으로 글로벌 소비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국내 쌀 산업은 오랜 기간 공급 과잉과 소비 감소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쌀 재고가 쌓이고, 정부가 매년 막대한 예산을 들여 시장 격리에 나서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 이에 국산 쌀의 수출은 새로운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정 회장은 "쌀 수출 시장을 다변화할 필요가 있다"며 "인도, 중동 이런 나라도 쌀을 먹지만 국산 쌀보다는 품질이 떨어진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냉동김밥 등 쌀가공식품이 많이 수출되고 있는데, 이런 거를 통해서 국산 쌀과 국산 쌀을 이용한 가공식품 홍보에도 정부가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