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교통체계 도입으로 출퇴근 시간 단축
1, 2단계 대책 시행에 따른 체감도 상승
중장기적 교통 용량 확보 방안 검토 중
[과천=뉴스핌] 박승봉 기자 = 대규모 도시개발로 상습적인 교통정체가 반복됐던 경기 과천지식정보타운(지정타)이 본격적인 교통개선 궤도에 진입했다.
![]() |
지식정보타운 실무협의체 회의에서 모두 발언하는 신계용 과천시장. [사진=과천시] |
뉴스핌이 16일 취재한 내용을 종합해보면, 갈현동 지식정보타운의 만성적인 출퇴근 시간 교통정체가 과천시의 단계별 교통개선대책 추진으로 점차 해소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총 세대수 5401세대, 인구 1만7000여 명에 달하는 주거지와 약 800여개 기업체에 종사하는 3만2000여 명의 유입 인구가 혼재된 지역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교통대책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과천시는 현재까지 3단계 교통개선대책 중 1단계와 2단계를 시행 중이며, 눈에 띄는 교통흐름 개선 효과를 보이고 있다.
◆ 단계별 개선대책으로 체감도↑...시민들 "확실히 달라졌다"
![]() |
신계용 과천시장, 지식정보타운 주요사업장 현장점검. [사진=과천시] |
1단계 조치는 지난 3월 17일부터 본격 시행된 '지능형교통체계(ITS)' 기반 온라인 원격 신호제어 시스템 구축이다. LH와 협의를 거쳐 교통 CCTV 4개소와 8개 교차로에 대한 원격제어 시스템을 조기 설치 완료했다.
이후 오전 7시부터 9시, 오후 4시 30분부터 7시까지 과천시, 경찰서, 한국도로교통공단이 공동으로 '신호제어 합동 비상대응체계'를 가동 중이다. 특히 오후 5~6시 남북축 중심의 신호를 동서축 중심(과천대로7길)으로 조정한 결과, 퇴근 차량 소통에 눈에 띄는 개선 효과가 나타났다.
시 관계자는 "출근 시간대 평균 통행시간은 20분에서 12분으로 39% 줄었고, 신호대기 횟수도 절반으로 감소했다"며 "퇴근 시간대 역시 통행시간이 25분에서 12분으로 단축되고 신호대기도 5회에서 2회로 60%나 감소했다"고 밝혔다.
![]() |
과천시 지정타 교통개선대책 1단계. [사진=과천시] |
2단계 조치는 지난 4월 8일부터 시행 중인 S4 앞 횡단보도 축소 조치다. LH에서 보도 조성 임시 공사를 마친 이후, 보행신호 시간이 줄어든 18초를 지체 방향 차량 신호시간으로 재분배하면서 교통 흐름을 한층 더 개선했다.
시민들은 "퇴근길 정체가 전보다 훨씬 덜해졌다"며 "이제는 출퇴근 시간 걱정 없이 일상생활이 가능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와 함께 3단계 중장기 대책도 추진 중이다. 시는 과천대로 7길 지식5~지식6 사이 구간의 차로 조정을 통해, 과천대로 방향 좌회전 포켓차로를 직진차로로 전환해 1차로를 추가 확보할 계획이다.
![]() |
과천시 지정타 교통개선대책 2단계. [사진=과천시] |
이는 퇴근 시간대 집중되는 교통량 해소를 위한 중장기적 용량 확보 방안으로, 출근 시간 지산방향 통행량 변화에 따라 가변차로 도입도 함께 검토 중이다.
이병락 과천시 교통과장은 "현장 실시간 교통량 분석을 통해 순발력 있게 신호체계를 조정하고 있다"며 "출퇴근 시간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교통정보센터와 유관기관이 긴밀히 협력 중"이라고 설명했다.
과천시는 지식정보타운 기업협의회와의 협력을 통해 상시 모니터링 체계를 가동 중이며, 교통정책 효과와 시민 체감도를 반영한 단계적 보완 조치를 지속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 |
과천시 지정타 교통개선대책 3단계. [사진=과천시] |
과천시가 추진 중인 '3단계 교통개선대책' 중 1·2단계 조치가 최근 시행되면서 입주기업 관계자들 사이에서도 "출퇴근길 정체가 절반 이상 줄었다"는 체감 평가가 잇따르고 있다.
◆ 통행시간 절반 '뚝'...기업들 "교통 스트레스 대폭 줄어"
실제 개선효과도 수치로 확인된다. 오전 출근시간(89시)은 평균 20분에서 12분 18초로 39% 단축, 신호대기 횟수는 4회→2회로 50% 감소했다. 퇴근시간(56시)에도 통행시간이 25분에서 12분 24초로 절반 가까이 줄었고, 대기 횟수 역시 5회→2회(60% 감소)했다.
![]() |
과천시 지정타 교통 개선 대책 1단계 전후 교통개선 모습. [사진=과천시] |
지정타 입주사인 이트너스㈜ 서광규 이사는 이날 뉴스핌과의 통화에서 "최근 개선대책으로 퇴근길 정체가 확연히 줄었고 체감상 소요시간이 절반 정도 감소했다"며 "특히 신호시간 18초 연장은 정체 해소에 분명한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서 이사는 이어 "초기 단지 설계 시 교통량 예측이 부족했고, 대중교통 내 연결도 부재해 문제가 복합적으로 악화됐다"며 "현재 과기협이 꾸준히 제안하고 있는 '가변차로제'의 조속한 도입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금강공업㈜ 이제윤 상무도 "신호최적화 시행 후 전반적인 흐름이 좋아졌고, 2단계 조치 이후 직원들도 개선을 확실히 느끼고 있다"며 "퇴근 집중시간 정체는 여전히 발생하고 있으나 시의 노력에 만족하며, 요일별 편차를 고려한 추가 대책도 절실하다"고 말했다.
![]() |
과천시 지정타 교통 개선 대책 2단계 전후 교통개선 모습. [사진=과천시] |
그는 특히 차량 유출을 높이기 위한 구조 개선책으로 △좌회전 전용차로 일부구간 직좌 전환 △중외제약~통신사령부 사거리 간 가변차로 도입 △광동제약 앞 도로를 과천대로까지 직결하는 방안 등을 제안했다.
또한 "계획 중인 인재개발원 도로 신설과 D테크타워 뒷도로 연결도 조속히 추진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 "교통은 곧 도시 경쟁력"...신계용 시장 "입주민과 기업 모두 체감해야 완성"
![]() |
과천지식정보타운 입주기업 시정설명회. [사진=과천시] |
과천시는 지난해에도 과천대로12길 상습정체 해소를 위해 차로 조정 등 적극적인 교통대책을 시행, 시민들의 큰 호응을 얻은 바 있다.
신계용 과천시장은 "교통은 도시 생활의 질과 직결된 기반시설"이라며 "입주기업과 시민 모두가 만족할 수 있도록 선제적 개선을 계속해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과천시는 남은 3단계 대책의 세부방안을 마련 중이며, 기업협의회(과기협)를 중심으로 모니터링과 피드백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단순한 해소'를 넘어, '지속가능한 교통환경'을 목표로 한 과천시의 지정타 교통정책이 어떻게 완성될지 주목된다.
![]() |
LH사장 방문 현안사업 건의. [사진=과천시] |
1141worl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