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뉴스핌] 우승오 기자 = 용인특례시는 지난 9일 컨퍼런스룸에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열고 탄소중립도시 청사진을 제시했다.
10일 시에 따르면 위원회는 이날 '용인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기본계획(안)'과 '제3차 기후위기 적응 대책 이행평가 결과 보고의 건'을 심의·의결했다.
![]() |
용인시는 지난 9일 컨퍼런스룸에서 제1회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를 열었다. [사진=용인시] |
앞서 시는 시민토론회와 설문조사를 거쳐 시민 의견을 수렴하고, 지난 2월 21개 부서 담당 팀장 실무 회의를 거쳐 계획을 수립했다. 이후 한국환경공단 컨설팅과 이날 위원회 심의로 기본계획을 최종 확정했다.
기본계획은 2030년까지 2018년 온실가스 배출량 632만t 40%인 253만t 감축을 목표로 한다. 기본계획에는 온실가스 감축 대책 108개와 기후위기 대응기반 강화 대책 69개를 포함해 177개 세부 이행과제를 담았다.
온실가스 감축 대책은 ▲에너지 효율 개선과 및 제로에너지 건축물 확산 ▲친환경차 보급 과 충전 인프라 확충 ▲지역 농업 활성과 저탄소 농업 기술 확산 ▲폐기물 원천 감량과 자원 순환 기반 확충 ▲흡수원 보전·복원과 신규 흡수원 확대를 포함한 6개 부문 13개 추진 전략, 108개 세부 이행과제로 이뤄졌다.
기후위기 대응 기반 강화 대책으로는 ▲기후위기 적응 대책 이행 ▲공유재산 기후재난 피해 최소와 기후위기 대응 ▲탄소중립 시민의식 제고로 지역 주도 탄소중립 확산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 활성 ▲친환경에너지 전환 촉진 ▲정의로운 전환 지원과 협업 체계 구축을 비롯한 8개 부문 13개 추진전략에 69개 세부 이행과제를 마련했다.
주요 감축 사업으로는 에코타운 조성으로 하수슬러지 자원화, 유기성 폐자원 바이오가스화 사업과 바이오가스를 수소로 생산해 수소충전소로 공급하는 미니수소도시 조성사업이 있다.
건물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시 특성을 반영해 신축 공동주택을 설계할 때 옥상·부대시설 지붕에 태양광 발전시설을 설치하고, 제로에너지 건축 인증을 확대하는 방안도 포함했다.
또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을 활성하려고 '공직자 실천 탄소배출 다이어트!', '민·관·학+ 원팀 탄소중립 프로젝트 실천'을 줄곧 확대하고 시민의 탄소중립 녹색생활 실천을 활성하기로 했다.
제3차 기후위기 적응 대책(2024~2028)'에 대한 2024년 세부 지표별 이행평가 결과는 '매우 우수'를 받았고, 34개 세부사업 목표 달성률은 99.7%, 예산집행률은 93.1%다.
'기후위기 적응'은 기후위기 취약성을 줄이고, 기후위기로 인한 건강 피해·자연재해 회복력을 높이는가 하면 기후위기 파급효과와 영향을 최소로 줄이거나 유익한 기회로 촉진하는 모든 활동을 말한다.
지난해 6월 구성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는 공동위원장인 이상일 시장과 민간위원장, 시의원, 대학교수, 기업체 임직원, 언론, 환경단체 전문가 23명이 참여한다. 위원회는 시 탄소중립과 녹색성장 추진을 위한 주요 정책과 계획을 심의·자문하는 임무를 한다.
seungo215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