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차·철강 25% 관세 부과 전망...대미 수출 10~20% 감소
현대차, 3년간 31조원 美 투자키로...철강은 고부가 제품 위주 수출
[서울=뉴스핌] 정탁윤 기자 =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한국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한 가운데, 백악관은 자동차와 철강, 반도체 등의 품목은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백악관은 이날 설명자료를 내고 "이미 (무역확장법) 232조에 따른 관세 대상인 철강·알루미늄 제품,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 구리, 의약품, 반도체, 목재 제품, 향후 제 232조에 따른 관세가 부과될 수 있는 모든 제품은 상호관세에서 제외한다"고 밝혔다.
국가안보조항으로 알려진 무역확장법 232조는 외국산 수입 제품이 미국 국가안보에 위협이 될 경우 긴급하게 수입을 제한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미 철강·알루미늄에 25%의 관세를 지난달 12일부터 부과했고, 3일부터는 자동차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이날 재확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앞서 구리와 의약품, 반도체, 목재 등 품목에도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혀 왔다.
아울러 백악관은 "금괴 및 미국에서 구할 수 없는 에너지 및 기타 특정 광물도 상호관세 부과 대상에서 제외한다"라고 설명했다.
◆ 자동차·철강 25% 관세 부과 전망...대미 수출 10~20% 감소
이에 따라 미국으로 수출되는 한국 자동차에 부과되는 관세는 50%(개별 25%+상호 25%)가 아닌 품목별 관세 25%만 적용될 전망이다. 당초 국내 자동차 업계에선 최대 50%의 관세가 적용될 경우 수출 감소 및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했다.
![]() |
선적을 위해 대기중인 자동차 [사진=뉴스핌 DB] |
자동차 업계는 일단 최악의 상황은 피했다는 분위기지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사실상 무관세를 적용받던 국내 자동차 및 부품업계의 수익성 악화는 불가피할 전망이다. 완성차 업계뿐만 아니라 1만~2만여개에 달하는 부품사의 타격도 예상된다.
자동차 업계 한 관계자는 3일 "50%가 적용되지 않는다는 것은 불행중 다행이지만, 수출 감소 등 수익 악화는 불가피할 것"이라며 "향후 정부 차원의 협상 등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에 따르면, 미국이 자동차·철강 등에 25% 관세를 매길 경우 올해 한국의 대미 자동차 수출액이 지난해 대비 18.59%, 철강 수출액이 11.47% 감소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은 바 있다.
◆ 현대차, 3년간 31조원 美 투자키로...철강은 고부가 제품 위주 수출
최근 현대차그룹은 오는 2028년까지 미국에서 자동차, 부품 및 물류, 철강, 미래 산업 등 주요 분야에 210억 달러(31조원)를 투자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최근 완공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생산 규모를 현재 연간 30만 대에서 50만 대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 경우 기존의 공장과 더해 최대 120만대를 미국에서 생산할 수 있다. 이는 지난해 미국 판매량(170만 대) 기준 70%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이미 25%의 관세를 부과 받은 포스코와 현대제철 등 철강업계도 일단 최악은 피했다는 분위기다. 앞서 한국 철강사들은 관세 부과 후 미국 상황에 따라 품목별 수출 전략을 다각화하는 전략을 세웠다. 원가 절감 및 고부가 제품 위주의 수출로 수익성을 만회하겠다는 계획이다.
철강업계 한 관계자는 "미국은 품목별로 제품 가격이 다양해 정확히 얼마의 관세가 적용될지 앞으로 따져봐야 한다"면서 "결국 원가를 절감하고 고부가 제품 위주의 수출로 수익성을 지키는 것 밖엔 답이 없다"고 말했다.
tac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