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강철호 부산시의원 |
[부산=뉴스핌] 남동현 기자 = 부산시의회 교육위원회 강철호 위원장은 17일 제326회 임시회 자유발언을 통해 "산복도로 지역 학생들의 통학 불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맞춤형 통학버스 시범운영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강 위원장은 "부산의 대중교통은 간선도로 중심으로 운영되어 원도심과 산복도로 지역 주민들이 이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동구 지역에는 17개 초·중·고등학교가 밀집해 있지만, 학생들이 긴 배차 간격과 불편한 환승 문제로 등·하교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강 위원장에 따르면 동구 지역 학생들이 이용하는 주요 노선으로는 시내버스 38번, 86번, 186번 등과 마을버스 1개 노선이 있으나. 등교시간대 긴 배차 간격과 노선 부족으로 학생들의 불편이 지속되고 있다.
86번 버스의 경우 하루 평균 1만 931명의 승객 중 청소년 이용객이 792명, 38번 버스는 4,223명 중 368명, 186번 버스는 3959명 중 257명으로 조사됐으며, 학생들이 원활하게 통학하기에는 현재 대중교통 체계가 부족한 실정이다.
강 위원장은 "학생 수 대비 버스 이용 실적이 낮은 것은 현재의 노선이 통학에 최적화되지 않았음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기존 노선 조정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는 문제이므로 보다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부산은 지형적으로 산복도로와 고지대가 많아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는 지역이 많다"며 동구뿐만 아니라 부산 전역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는 문제임을 강조했다.
강 위원장은 동구 지역을 시범운영 지역으로 지정해 등·하교 시간대 맞춤형 통학버스를 도입하고 그 성과를 바탕으로 부산 전역으로 확대할 것을 제안했다.
그러면서 "부산시는 그동안 '운영상 비효율적'이라는 이유로 노선 조정을 어렵다고 밝혀왔다"라며 "학생들의 통학권 보장을 위해서는 새로운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강 위원장은 "부산의 미래를 책임질 학생들이 매일 아침 대중교통 불편을 감내해야 하는 현실이 이제는 바뀌어야 한다"면서 "아이들이 편하게 등교할 수 있는 도시가 진정한 교육 도시"라고 말했다.
또 "부산시와 교육청, 교통 관련 기관이 적극 협력하여 학생들의 교통권 보장을 위한 현실적인 개선책을 마련헤야 한다"며 "맞춤형 통학버스의 시범운영이 성공적으로 정착될 수 있도록 시의회에서도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원하겠다"고 전했다.
ndh40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