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세도 너무 늦다" ,'4세 고시'까지 등장한 학원가
'7세 고시' 수학 시험지, 서울대 재학생이 풀어보니
KBS1 '추적60분'...대한민국 사교육 현주소 고발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7세 고시'를 아십니까? 초등학교 입학을 앞둔 만 5, 6세 아이들이 일명 빅 3, 빅 10으로 불리는 유명 영어 학원에 들어가기 위해 보는 시험이다. 한때는 서울 일부 지역에서만 쓰이던 말이었지만, 지금은 다르다. 대한민국 전역에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거기에 '이제 7세도 너무 늦다'는 인식이 퍼지며 '4세 고시'란 말까지 등장하고 있다. 아이들은 대체 어떤 시험을 보고 있는 것일까.
![]() |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지난해 11월 3일 강남구 대치동에 입학 시험을 보러온 아이들과 학부모들. [사진 = KBS 제공] 2025.02.14 oks34@newspim.com |
◆ 유아기에 '영어' 진도 빼고, 초등학교에 입학하면 '수학'으로
KBS 1TV '추적 60분' 제작진은 14일 오후 10시 약 6개월간 다양한 현장에서 학부모, 학생, 학원 관계자, 전문가들을 만나며 취재한 대한민국 사교육 시장 현실을 공개한다. 지난해 11월 3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한 건물 주변은 입학시험을 보러 온 아이들과 학부모들로 붐볐다. 초등 전문 수학 학원으로 알려진 이 학원은 전국 60여 개 지점에서 같은 날, 같은 시각에, 같은 문제로 입학시험을 치른다. 이날 시험에는 전국 초등학생 9,657명이 응시했다. 학원 측이 공개한 아이들의 평균 점수는 100점 만점에 19.5점이다. 21점만 맞아도 합격권이다. 난도가 높은 것으로 유명한 이 학원의 입학시험 문제. '추적 60분' 팀은 이 학원의 실제 입학시험지를 입수, 서울대학교 재학생 5명과 함께 풀어봤다. 그 놀라운 결과가 방송에서 공개된다.
◆ 빠를수록 좋다? 점점 낮아지는 사교육 연령대...4세 고시까지 등장
요즘 학원가는 3대 고시가 성행 중이다. 유명 영어학원 입학시험인 7세 고시, 초등학교 입학 후 꼭 거쳐야 한다는 'ㅎ' 수학 학원 입학시험, 그리고 일명 영어 유치원이라 불리는 유아 전문 영어 학원 입학시험인 4세 고시가 그것이다.
'4세 고시' 준비는 어떻게 이뤄질까. 놀랍게도 제작진은 취재 도중 기저귀를 떼기도 전인 24개월 무렵 아이들을 위한 입시 전문 학원도 찾을 수 있었다. 아이들에게 알파벳 발음은 물론 손에 힘을 주어 연필 잡는 법까지 알려주는 학원도 있었다.
![]() |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고시시험을 보는 요즘 아이들. [사진 = KBS 제공] 2025.02.14 oks34@newspim.com |
◆ 학원을 위한 학원, '새끼 학원'까지 늘고 있다
아이들은 '고시'라 불릴 정도로 고난도의 문제가 출제되는 유명 학원들의 입학시험을 위해 입시 전문 과외를 받거나 일명 '새끼 학원'으로 불리는 또 다른 학원에 다닌다. 유명 학원들은 '어릴 때부터 학원에 다니며 선행을 해야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다'고 강조한다. 사교육 기관들은 학부모들의 불안한 마음을 자극하며 계속 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 학업 스트레스에 병들어 가는 아이들
서울대학교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는 어린 나이부터 시작되는 학업 부담이 아이들의 뇌 발달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김 교수는 "4세에서 7세 사이는 전두엽 특정 부위들과의 연결망이 만들어지는 시기"라면서 "이 초기 단계에 문제가 생기면 아이들이 우울감이나 불안에 빠지고, 반동 형성으로 공격성이나 반항성이 나올 가능성이 굉장히 높아진다"고 경고한다.
대치동에서 정신건강의학과를 운영하는 이선화 원장은 "병원을 찾는 환자들 중엔 어릴 때부터 분노를 쌓아온 아이들이 많다."며, "그것이 행동으로 나타났을 때는 이미 우울증, 불안증이 심각해진 상태"라고 말했다. 우울증을 앓는 아동과 청소년이 매년 늘어나고 있는 현실. 우리 아이들, 이대로 두어도 괜찮은 걸까.
![]() |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7세고시 시험문제를 서울대 재학 중인 학생들이 풀어보았다. 그 충격적인 결과가 '추적60분'에서 공개된다. [사진 = KBS 제공] 2025.02.14 oks34@newspim.com |
◆ 경쟁적인 교육, 출산율에 직접적인 영향 미쳐
이런 분위기 속에서 스트레스를 받는 건 아이들뿐만이 아니다. 유아기 때부터 입시 경쟁이 시작되며, 학부모들의 부담 역시 커지고 있다. 학령 인구는 매년 감소하고 있지만, 사교육비 총액은 오히려 늘었다. 2023년 사교육비 총액은 27조 원으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가 1% 늘어나면 합계출산율이 최대 0.3% 감소한다는 최근 연구 결과는 대한민국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대한민국 사교육 시장 현실을 들여다본 추적 60분 '7세 고시, 누구를 위한 시험인가' 편은 2025년 2월 14일 금요일 KBS 1TV 오후 10시에 방송된다.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