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로보뉴스 = 교보증권에서 14일 카카오(035720)에 대해 'AI 메이트 도입으로 코어 비즈니스 가속 시도'라며 투자의견 'BUY'의 신규 리포트를 발행하였고, 목표가 51,000원을 내놓았다. 전일 종가 기준으로 볼 때, 이 종목의 주가는 목표가 대비 26.9%의 추가 상승여력이 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 카카오 리포트 주요내용
교보증권에서 카카오(035720)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 51,000원 유지. 동사의 1Q25 영업이익은 낮은 컨텐츠 매출과 광고/커머스 비수기가 맞물려 4Q24 대비 의미 있는 반등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톡비즈 내 AI 기능 고도화 및 DA 지면 확장을 통해 2H24 톡비즈 매출 성장 가속되며 연중 영업이익은 ‘상저하고’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톡비즈 개편은 1) 1H24 카카오톡 내 ‘AI 메이트’ 출시(톡 채널 형태 개인화 AI 에이전트, 쇼핑 및 로컬 분야부터 런칭), 2) 신규탭(‘발견’ 영역) 출시 후 이미지/숏폼 피드 지면 확보(DA 지면 확대)를 통한 이용자 체류 시간 증가 및 광고 매출 성장 가속을 목표로 함. 하나의 서비스 안에서도 각 버티컬 기능에 강점을 가진 자체/외부 모델(Open AI와의 협업 포함)을 비용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Model Orchestration’은 AI 서비스 수익화를 위한 현실적 전략이라고 판단.'라고 분석했다.
또한 교보증권에서 '4Q24 매출은 1.96조원(YoY -3%), 영익은 1,067억원(YoY -34%)으로 시장 예상치(매출 1.98조원, 영익 1,182억원) 하회. 톡비즈 광고 매출은 톡채널 활성 광고주 수 및 톡채널 친구 수 확대로 메시지 비즈니스 성장(YoY +18%), 내수 경기와 광고 업황 회복 지연에 따른 DA(YoY -2%) 감소로 3,212억원(YoY +5%) 기록. 거래형 매출은 전 분기와 유사한 정도의 커머스 통합거래액 성장(YoY +3) 이어지며 2,416억원(YoY +4%). 플랫폼 기타 모빌리티 전 부문 견조 성장과 페이 증권 매출 성장으로 4,031억원(YoY +22%) 기록. 게임 매출은 기존 게임 매출 하향 및 비게임부문 역성장으로 1,630억원(YoY -30%), 뮤직 매출은주요 아티스트 앨범 판매 호조와 활발한 글로벌 활동에도 전년 동기 높은 기저로 4,702억원(YoY -6%) 기록.'라고 밝혔다.
◆ 카카오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유지, 51,000원 -> 51,000원(0.0%)
- 교보증권,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교보증권 김동우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51,000원은 2025년 01월 16일 발행된 교보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51,000원과 동일하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교보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4년 02월 16일 70,000원을 제시한 이후 하락하여 이번 리포트에서 51,000원을 제시하였다.
◆ 카카오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49,143원, 교보증권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보수적 변화
- 목표가 상향조정 증권사 3개
오늘 교보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51,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49,143원 대비 3.8% 높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키움증권의 57,000원 보다는 -10.5% 낮다. 이는 교보증권이 타 증권사들보다 카카오의 주가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49,143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54,565원 대비 -9.9% 하락하였다. 이를 통해 카카오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보수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
◆ 카카오 리포트 주요내용
교보증권에서 카카오(035720)에 대해 '투자의견 매수 유지 및 목표주가 51,000원 유지. 동사의 1Q25 영업이익은 낮은 컨텐츠 매출과 광고/커머스 비수기가 맞물려 4Q24 대비 의미 있는 반등이 어려운 상황이지만, 톡비즈 내 AI 기능 고도화 및 DA 지면 확장을 통해 2H24 톡비즈 매출 성장 가속되며 연중 영업이익은 ‘상저하고’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 톡비즈 개편은 1) 1H24 카카오톡 내 ‘AI 메이트’ 출시(톡 채널 형태 개인화 AI 에이전트, 쇼핑 및 로컬 분야부터 런칭), 2) 신규탭(‘발견’ 영역) 출시 후 이미지/숏폼 피드 지면 확보(DA 지면 확대)를 통한 이용자 체류 시간 증가 및 광고 매출 성장 가속을 목표로 함. 하나의 서비스 안에서도 각 버티컬 기능에 강점을 가진 자체/외부 모델(Open AI와의 협업 포함)을 비용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Model Orchestration’은 AI 서비스 수익화를 위한 현실적 전략이라고 판단.'라고 분석했다.
또한 교보증권에서 '4Q24 매출은 1.96조원(YoY -3%), 영익은 1,067억원(YoY -34%)으로 시장 예상치(매출 1.98조원, 영익 1,182억원) 하회. 톡비즈 광고 매출은 톡채널 활성 광고주 수 및 톡채널 친구 수 확대로 메시지 비즈니스 성장(YoY +18%), 내수 경기와 광고 업황 회복 지연에 따른 DA(YoY -2%) 감소로 3,212억원(YoY +5%) 기록. 거래형 매출은 전 분기와 유사한 정도의 커머스 통합거래액 성장(YoY +3) 이어지며 2,416억원(YoY +4%). 플랫폼 기타 모빌리티 전 부문 견조 성장과 페이 증권 매출 성장으로 4,031억원(YoY +22%) 기록. 게임 매출은 기존 게임 매출 하향 및 비게임부문 역성장으로 1,630억원(YoY -30%), 뮤직 매출은주요 아티스트 앨범 판매 호조와 활발한 글로벌 활동에도 전년 동기 높은 기저로 4,702억원(YoY -6%) 기록.'라고 밝혔다.
◆ 카카오 직전 목표가 대비 변동
- 목표가 유지, 51,000원 -> 51,000원(0.0%)
- 교보증권, 최근 1년 목표가 하락
교보증권 김동우 애널리스트가 이 종목에 대하여 제시한 목표가 51,000원은 2025년 01월 16일 발행된 교보증권의 직전 목표가인 51,000원과 동일하다. 최근 1년 동안 이 종목에 대해 교보증권이 제시한 목표가를 살펴보면, 24년 02월 16일 70,000원을 제시한 이후 하락하여 이번 리포트에서 51,000원을 제시하였다.
◆ 카카오 목표가 컨센서스 비교
- 평균 목표가 49,143원, 교보증권 긍정적 평가
- 지난 6개월 대비 전체 컨센서스 보수적 변화
- 목표가 상향조정 증권사 3개
오늘 교보증권에서 제시한 목표가 51,000원은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 평균 목표가인 49,143원 대비 3.8% 높지만 전체 증권사 중 최고 목표가인 키움증권의 57,000원 보다는 -10.5% 낮다. 이는 교보증권이 타 증권사들보다 카카오의 주가를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참고로 최근 6개월 전체 증권사의 평균 목표가인 49,143원은 직전 6개월 평균 목표가였던 54,565원 대비 -9.9% 하락하였다. 이를 통해 카카오의 향후 주가에 대한 증권사들의 전체적인 분석이 보수적으로 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기사는 뉴스핌과 금융 AI 전문기업 씽크풀이 공동 개발한 기사 자동생성 알고리즘에 의해 실시간으로 작성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