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노을 주식회사는 서울아산 병원, 연세의료원, 하버드 의대 소속 병원인 매사추세츠 종합병원(Massachusetts General Hospital, MGH)과 협력해 개발한 차세대 암 진단 기술 '최소침습적 AI 기반 암 진단 시스템'이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에서 2025년 10대 대표과제로 선정됐다고 11일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AI 기반 차세대 암 진단 시스템은 염색 단계부터 이미징, AI 진단까지 전자동화한 전세계 유일한 솔루션으로, 최소침습적 방식으로 현장에서 간단하고 빠르게 암 진단 검사를 제공한다. 첫 상용화 제품으로 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솔루션 'miLab CER'이 있으며, 노을은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향후 다양한 암종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 |
노을 2025년 범부처 10대 대표과제 선정. [사진=노을] |
노을 임찬양 대표는 "이번 10대 대표과제 선정에 노을의 AI 기반 자궁경부암 진단 제품인 'miLab™ CER'의 성공적인 상용화가 크게 기여한 것으로 보고 있다"며 " 노을은 지난 4년간 고체 염색법이 적용된 스마트 카트리지 기술을 기반으로 자궁경부암, 유방암, 갑상선암, 폐암, 췌장암, 담도암 등 다양한 암 진단 영역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 왔다"고 전했다.
이어 "특히 상용화된 자궁경부암 진단 제품은 WHO-UNITAID로부터 사용 권고되며 글로벌 시장에서 기술력과 제품력을 인정받았다"며 "노을의 핵심 기반 기술을 바탕으로, 앞으로 다양한 암종의 진단으로 연구개발과 비즈니스를 확대해 나가려고 한다"고 밝혔다.
이번에 선정된 과제는 노을이 세계 최고 권위의 의료 기관들과 협력해 진행한 프로젝트다.
서울아산병원은 국내 최대 규모의 의료기관이자 아시아를 대표하는 연구 중심 병원으로, 암 치료 및 진단 기술 개발에 있어 선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연세의료원은 국내를 대표하는 의료기관으로, 정밀의료 및 암 연구 분야에서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 매사추세츠 종합병원은 하버드 의대 부속병원이자 글로벌 최고 수준의 연구 병원 중 하나로, 혁신적인 의료 기술 개발과 임상 연구를 통해 글로벌 헬스케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현재 암 진단에 사용되는 조직 생검(Biopsy)은 침습적이고, 절차가 복잡하며, 결과를 확인하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한계가 있다. 이에 반해 세침흡인 세포검사는 최소침습적 방식으로 간단하고 신속한 검사가 가능해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더 나은 대안으로 평가받고 있다. 노을의 '최소침습적 AI 기반 암 진단 시스템'은 현장에서 즉시 진단이 가능하도록 설계되었으며, 복잡한 검체 전달 과정 없이 검체 채취부터 진단까지 짧은 시간 내에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범부처전주기의료기기연구개발사업은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4개 정부 부처가 협력하여 의료기기 개발을 지원하는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이다. 해당 사업은 기초 연구부터 제품 인허가, 시장 진출까지 의료기기 개발의 전 과정을 아우르며,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