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2024년 공연예술시장 규모가 1조4488억 대로 전년보다 성장한 가운데 중장년 층의 문화예술활동, 공연관람 횟수가 증가했다. 뮤지컬 시장에선 유튜브, 숏폼 콘텐츠와 관련해 SNS 바이럴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새로운 관객층 유입이 시작됐다.
공연예술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올해 12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전체 공연의 잠정 티켓 매출은 1조4488억 원 대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1조2695억 대였던 티켓 매출과 비교해 12% 정도 성장한 규모다.
특히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문화예술활동조사에서 국민들의 문화예술행사 직접관람 횟수가 전년대비 소폭 늘어난 것과 더불어, 60대 이상 연령층에서 여가활동 1인당 평균 가수가 큰 폭으로 증가하며 공연, 예술계에 중장년층의 유입이 가시화됐다. '영웅' '명성황후' '광화문연가' '알라딘' 등 기성세대에게 접근성이 좋은 뮤지컬들이 다수 공연된 점도 유효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킹키부츠' 패러디 [사진=유튜브 '빵송국'의 '뮤지컬스타4' 영상] |
올해는 뮤지컬 업계에선 '시카고' '킹키부츠' 등의 작품이 흥행하면서 본격적으로 SNS 바이럴 마케팅이 힘을 발휘한 해였다. CJ ENM 뮤지컬 '킹키부츠' 개막을 앞두고 코미디 채널 빵송국의 패러디 영상이 무려 500만 뷰를 기록하며 화제를 모은 가운데, '시카고'의 복화술 영상, 커튼콜 장면 등이 유튜브에서 돌면서 새로운 관객층 유입을 유도하는데 성공했다.
뮤지컬 '하데스타운' 공연 장면 [사진=에스엔코] |
코로나 때 라이선스 초연을 올렸다가 재연으로 돌아온 '하데스타운' 흥행도 화제였다. 그리스 로마 신화의 하데스와 페르세포네, 오르페우스와 에우리디케 이야기를 현대적으로 풀어낸 이야기로 신과 인간을 자본가와 노동자 계급으로 대입시켜 동시대성을 부여했다. 결말을 알면서도 그럼에도 다시 노래를 시작하는 예술가의 서사를 통해 숱한 좌절에도 다시 일어서는 희망을 담아내며 공연 중반 이후 매진세례로 막을 내렸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2024 뮤지컬 '지킬앤하이드' 20주년 공연 장면 [사진=오디컴퍼니] 2024.12.19 jyyang@newspim.com |
한국인이 사랑하는 뮤지컬 '지킬앤하이드'의 20주년도 공연계의 기념비적 이벤트다. 지난 2004년 라이선스 초연을 올린 후 조승우, 양준모, 김우형, 홍광호, 박은태, 전동석, 민우혁, 카이, 김성철 등 수많은 배우들이 거쳐간 명작이자 브로드웨이 원작보다 한국의 프로덕션이 인정받는 거의 유일무이한 작품이다. 한국인의 영혼을 울리는 작곡가 프랭크 와일드혼의 음악과 최장 시즌 루시를 맡은 윤공주, 아이비, 린아, 선민, 김환희, 조정은, 최수진, 손지수, 이지혜까지 베테랑 배우들의 열연을 만날 수 있으며 내년 5월 17일까지 약 6개월에 걸쳐 공연을 올린다.
디즈니 뮤지컬 '알라딘'의 한국 라이선스 초연도 주목할 만한 사건이다. 10년간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은 초특급 흥행 콘텐츠가 완벽히 한국화된 버전으로 관객들과 만났다. 화려한 판타지를 구현한 무대와 수없이 배꼽을 잡게 하는 '지니 원맨쇼', 누구나 아는 알란 멘켄의 흥겹고 아름다운 음악을 만날 수 있는 무대로 어린 아이부터 중장년층까지 뮤지컬을 처음 접하는 이들에게도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올클린' 콘텐츠로 주목받았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2024 뮤지컬 '알라딘' 공연 장면. [사진=에스엔코]2024.11.29 jyyang@newspim.com |
SNS 바이럴 마케팅으로 인한 관객층의 확장은 호재였지만, 부작용 아닌 부작용도 있었다. 바이럴 마케팅으로 이름을 널리 알린 주인공인 배우 최재림의 공연 진행 중 갑작스런 취소 사태로 겹치기 논란이 불거졌던 사건이다. 연초부터 '오페라의 유령'과 '레미제라블'의 겹치기로 컨디션이 좋지 않았던 탓에 일부 관객들의 불만을 들어야했지만, 연말에 '시라노'에서 공연이 1막까지 진행한 뒤 취소되며 논란에 불을 붙였다. 최재림의 4작품 동시 공연, 연습 진행으로 '시라노'와 '킹키부츠' '알라딘'에 출연 중인 배우까지 직간접적으로 피해를 입었다.
올 한 해를 마무리하면서 업계에서는 경기 불황으로 인해 내년의 업황을 우려하는 의견도 적지 않다. 특히나 연말에 예상치못했던 12.3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공연 시장이 위축되면서 이 분위기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측하는 의견이 다수다.
공연 업계에선 내년 더욱 시장 확장과 관객층 발굴에 박차를 가하는 한편, '웃는남자' '위키드' 내한공연, '팬텀' '맘마미아!' '물랑루즈' 같은 대형 작품이 돌아오는 만큼 올해의 성장세가 이어지기를 기대하고 있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