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양섭 기자 = 최근 트럼프발 리스크로 이차전지 산업에 먹구름이 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가운데 이미 북미에 생산거점을 구축한 국내 기업들에게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관측에 힘이 실리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고관세 정책을 줄곧 강조해온만큼 북미 거점이 없는 중국 배터리 기업들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1기 집권 당시 대중국 관세를 대폭 올렸던 트럼프 당선인은 공화당의 상·하원 동시 석권에 힘입어 관세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정책 수위도 높일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실제로 트럼프는 선거 유세 과정에서 모든 수입품에 10∼20%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중국산 제품에는 60%의 추가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관세 인상을 통한 노림수는 크게 두 가지다. 보호 무역주의로 자국 제조업을 보호하고 '온쇼어링'(해외기업의 자국 생산시설 유치와 기업의 자국 내 생산 확대)을 추진함과 동시에 법인세와 소득세 인하로 줄어드는 세수를 메우겠다는 것이다.
미국이 고관세 정책 기반 중국 견제 및 자국 보호 무역주의 기조를 강화할수록 현지에 선점 투자한 이차전지 부품 관련 국내 기업에게는 호재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상신이디피, 하이소닉, 신흥에스이씨 등이 관련 수혜주로 꼽힌다. 특히 각형 성장을 주도해온 중국 업체들의 미국 진출이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경쟁관계에 있는 기업의 수혜 규모가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상신이디피는 삼성SDI에 이차전지 캔(CAN)을 공급하는 기업으로 고객사 증설 계획에 발 맞추기 위해 지난해부터 미국 현지 투자를 본격화했다. 올 하반기부터 미국 내 삼성 SDI 전용 신규 공장을 가동하고 시제품 양산을 비롯해 공정 안정화 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제품 양산 시점은 내년 초로 보고있다.
하이소닉은 이차전지 캔(CAN)-캡 어셈블리(Cap Assembly) 부품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선택과 집중 전략으로 처음부터 미국 시장 진출을 준비한 결과 글로벌 배터리 업체와 2025년 양산을 시작으로 이후 8년간 6000억원 규모 미국향 ESS프로젝트를 협업중이다. 고객사 양산 일정을 맞추기 위해 내년 3월까지 미국 테네시주에 이차전지 부품 공장 설비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동시에 이차전지 부품 샘플 공급을 준비하고 있다. 샘플 검사가 완료되면 연내 본 계약을 체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시작으로 글로벌 배터리사들과 자동차용 각형, 원형 프로젝트 등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신흥에스이씨는 각형 배터리에 적용되는 캡 어셈블리(Cap Assembly) 부품을 공급하는 기업으로 삼성SDI가 주요 고객사다. 올 하반기 가동을 목표로 울산 및 미국에 삼성 SDI향 전용 공장을 건설중이다.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침체)에도 불구하고 투자를 지속적으로 이어가고 있다.
한국배터리산업협회 관계자는 "국내 배터리 기업이 미국에 선제적으로 투자한 것은 굉장히 큰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며 "이른바 선벨트, 러스트벨트 등 낙후 지역의 제조업을 부흥시키겠다는 트럼프 당선자의 공약과 궤를 같이한다는 점을 신정부에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사진=로이터 뉴스핌] |
ssup825@newspim.com